선생님이 불러 세웠다.."목선 보여 야해" "검정 속옷 안돼"

김지현 기자 2021. 4. 22. 05: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의 A여고에 재학 중인 이모양(17)은 지난달 교문 앞에서 치마가 짧다는 이유로 선생님으로부터 제재를 당했다. 치마 길이는 무릎 위 정도였다. 이씨는 "키가 자라고, 살이 조금 쪄서 (치마가) 짧아진 건데 줄였다며 벌점을 받았다"며 "셔츠 위에 조끼를 착용하는데도 검은색 속옷은 금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양은 "남자선생님이 보기에 좀 그래서 단속한다는 말을 들은 친구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지난달 학생들의 두발·복장을 규제하는 학칙을 삭제하는 학생인권조례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를 통과했지만, 현장에선 여전히 복장 규제가 이어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겉옷 종류부터 속옷 색까지 관련 교칙만 15개에 달하는 학교도 있다. 학생들은 '인권침해'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속바지 걷어 검사…똥머리, 포니테일 금지
/사진=뉴스1

서울 동작구의 B여중에선 단색 머리끈으로만 머리를 묶어야한다. 겉옷 위에 반드시 재킷(마이)을 입어야하고, 속바지가 사복이라고 판단될시 생활부가 치마를 걷어 검사하는 경우까지 있다. 양말도 단색, 가방도 단색만 들 수 있고 인형을 다는 것도 금지다.

관악구 C여고에선 아무리 추워도 조끼 패딩과 바람막이 착용이 불가하다. 풀었을 때 머리카락이 어깨에 닿는 경우엔 묶어야하고, 교복을 입었을 때 여학생은 무조건 파스텔톤 혹은 누드톤의 속옷을 입어야 한다. 셔츠 안에 반팔을 입는 것도 안된다.

지난달 15일부터 청소년 인권단체 '아수나로'가 두발·복장 규제에 관한 제보를 받은 결과 제보는 300건을 넘어섰다. 동작구의 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은 제보를 통해 "추위를 많이 타 두툼한 옷을 걸치고 갔더니, 여름이라면서 선생님이 옷을 뺐어갔다"고 했다.

여학생의 경우 목선이 드러나서 야하다는 이유로 머리를 말아 올려 묶는 걸(똥머리) 금지한 학교도 있고, 단발일 경우에 수평을 유지하라는 교칙이 있는 학교도 있었다. 색 있는 헤어핀을 착용해서도 안 되고, 숏컷은 '여성스럽지 않다'는 이유로 금지하는 학교도 있다.
트라우마 있어야만 치마 대신 바지 허용
/삽화=뉴스1

지난달 9일 문상길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 서울시 관내 여자중학교 44개교 중 9개교, 여자고등학교 85개교 중 22개교에 속옷 관련 규정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해당 학교들엔 화려한 속옷 금지, 무늬 없는 흰색만 착용 등과 같은 학칙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특성화고에 다니는 학생들은 '단정한 차림을 하지 않으면 학교 이미지가 나빠져 취업률이 떨어진다'는 말까지 듣는다. 서울의 한 특성화고에는 '교복을 입은 채 머리를 풀면 벌점 3점'이라는 교칙이 있다. 2학년 말까지 벌점 20점 이상이면 한 학기동안 취업 추천이 제한된다.

서울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경기, 충남, 전북, 광주 등 전국 6개 시·도 교육청에서도 학생인권조례에 '학생은 복장, 두발 등의 용모에 대해 자기 개성을 실현할 권리를 가진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지만 두발·복장 규제는 계속되고 있다. 전주의 한 여중은 학생이 특별한 이유(트라우마 등)를 학교 측에 증명할 수 있어야만 치마 대신 바지를 허용한다.

지난해 대구의 한 남고에선 학생 4명이 투블럭 금지 등의 두발 규제에 대해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내 획일적인 두발 강요는 인권침해라며 학칙을 개정하라는 권고를 받아내기도 했다.

교육청 꾸준한 모니터링 필요…학생 인격체로 대우해야
/사진=아수나로 제공

인권단체 및 학생들이 나서고 있지만 교칙을 바꾸는 건 쉽지 않다. 지난주엔 제보를 받은 인권단체가 서울의 한 특성화고를 방문해 두발·복장 규제는 불법이라는 전단지를 배포하다 제재를 당했다. 학교 관계자로부터 되려 "어떻게 남의 학교 규정을 세세하게 알고 있느냐"는 말을 들어야 했다.

지난 18일 서울시교육청엔 '학생인권 침해하는 용의 규정을 개정해 달라'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다. 서울 D여고의 학생인 청원인은 "용의 규정이 단순히 학생들을 불편하게 해서, 꾸밀 수 없게 해서 문제라는 것이 아니다"라며 "규제라고 쓰고 통제라고 읽는 규정들이 학생을 하나의 자주적인 인격체로 대우하지 않는다는 증거"라고 꼬집었다.

치이즈(활동명) 아수나로 활동가는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복장규정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모호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직접 학교를 방문하면 세세하고 엄격하게 규제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청이 꾸준하게 모니터링을 하고 공문, 권고를 강력하게만 해도 학교는 바뀔 것"이라며 "(조례라며) 강제성이 없다는 건 핑계"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함소원 '기자 협박' 의혹 터진 날…"제주도 장기간 가게 됐다"유튜버 이진호 "함소원, 숙대 무용과 차석?…편입생 의혹 제보"'자산 1조' 킴 카다시안, 가슴선 드러낸 파격 비키니 '깜짝'왕종근, 출생의 비밀 고백 "삼촌이 친아버지였다"이하늘 "김창열 가사 이현배가 다 썼다"…대리작사 의혹, 배상은?
김지현 기자 flo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