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날 기획]④ '앉은뱅이 꽃·벙어리장갑'..일상 속의 차별

홍승연 2021. 4. 21. 21: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구]
[앵커]

KBS가 마련한 장애인의 날 연속 기획 뉴스입니다.

'절름발이', '벙어리' 등 일상에서 무심코 썼던 표현이 장애인에게는 큰 상처가 되고 있습니다.

차별 용어를 쓰지 말자는 지적은 계속되고 있지만, 정착까지는 갈 길이 멉니다.

홍승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소아마비 장애를 앓았던 박명애 씨는 '앉은뱅이'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가슴이 내려앉습니다.

걷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앉은뱅이 꽃'이나 '앉은뱅이 의자' 같은 단어는 큰 상처라는 겁니다.

[박명애/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 : "그 말이 너무 나에게 아킬레스건으로 다가오는 거에요. 화를 내고 울거나 내가 성이 났다는 감정 표현을 하게 되고… 이런 말은 안 했으면 좋겠다."]

장애인 관련 시민단체가 자주 사용하는 장애인 차별 용어를 조사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인 표현은 '벙어리'였고 '장애자', '맹인'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잘 모르고 사용하는 차별 표현에는 '꿀 먹은 벙어리', '깜깜이 선거'와 같은 관용적인 표현이 많았습니다.

이 때문에 인권위원회는 벙어리장갑 대신 '손모아장갑', 절름발이가 아닌 '불균형적인', 눈뜬 장님은 '무엇을 보고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 바꿔서 표현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 외눈박이의 시각 대신 '왜곡된 시각'으로, 눈먼 돈은 '대가 없이 얻은 돈'으로 표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손두진/국가인권위원회 대구 인권사무소장 : "언어라고 하는 게 결국은 사회적인 구조를 표현한다고 봤을 때 구조가 차별적으로 심화되도록 자꾸 자기도 모르게 더 나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고…."]

오랜 시간 우리 일상 속에 자리 잡은 차별 표현들, 무심코 쓰는 단어 하나, 표현 하나가 장애인들에게는 언어폭력으로 작용하는 만큼 이를 바꾸려는 적극적인 실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홍승연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김지현

홍승연 기자 (carrot@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