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낙언의 식품 속 이야기] 소금에는 없지만 바다에는 있는 냄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다 냄새가 무슨 냄새일까? 항구에 가면 잡힌 생선들에서 나는 비린내가 많지만 사람이 없는 바닷가에도 민물과 다른 특유의 냄새가 있다.
바닷물에 물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것이 소금이지만 소금 자체는 냄새가 없다.
그러다 광합성을 하는 각종 조류와 세균이 뒤덮이면 먹는데, 거기에 디메틸설파이드의 냄새가 나기 때문에 멸치와 바닷새 같은 해양 생물이 먹이로 착각하는 것이다.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는 것은 모양이 아니라 냄새인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다 냄새가 무슨 냄새일까? 항구에 가면 잡힌 생선들에서 나는 비린내가 많지만 사람이 없는 바닷가에도 민물과 다른 특유의 냄새가 있다. 바닷물에 물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것이 소금이지만 소금 자체는 냄새가 없다. 그런데 바다의 냄새는 소금이 촉발시킨 냄새라고도 할 수 있다.
바다에 사는 생물들은 소금으로 인한 높은 삼투압에 대항해 수분을 빼앗기지 않는 특별한 수단이 필요한데, 그 방법이 몸안의 물에 저분자 물질을 충분히 간직하는 것이다. 생선에 산화트리메틸아민(TMAO), 홍어에 요소(urea), 해조류와 플랑크톤에 DMSP(유기화합물의 일종)가 대표적이다. 생선이 죽으면 산화트리메틸아민이 분해되면서 비린내가 나고, 홍어를 삭히면 요소가 암모니아로 분해되어 강한 냄새가 난다. 그리고 해초나 플랑크톤이 죽으면 DMSP가 디메틸설파이드로 분해되면서 특유의 냄새가 난다.
이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면서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이 디메틸설파이드다. 바다 생명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과 해초의 양이 워낙 많아 이들이 죽으면서 분해되어 만들어지는 양이 무려 10억 톤이나 되기 때문에 바다 냄새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심지어 바다 상공에서 에어로졸을 형성하여 비가 만들어지는 씨눈의 역할도 한다고 한다. 기후를 조작할 정도의 위력적인 양인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디메틸설파이드의 냄새는커녕 그런 존재조차 잘 모른다. 옥수수 통조림을 막 땄을 때의 냄새, 김 또는 게에서 나는 핵심 냄새이기도 하다.
바닷새 등의 해양 생물들이 먹이를 찾을 때 이용하는 냄새이기도 하다. 해양 생물들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먹는 경우가 많은데 깨끗한 플라스틱 조각은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다 광합성을 하는 각종 조류와 세균이 뒤덮이면 먹는데, 거기에 디메틸설파이드의 냄새가 나기 때문에 멸치와 바닷새 같은 해양 생물이 먹이로 착각하는 것이다. 연구원들이 디메틸설파이드를 방출하는 박테리아가 가득 든 병을 열자 굶주린 새들이 벌떼처럼 날아들었다고 한다.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는 것은 모양이 아니라 냄새인 것이다.
최낙언 편한식품정보 대표ㆍ식품공학자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중천 '원주 별장' 가보니… 10년 전 동영상 찍힌 노래방 그대로
- 누명 벗은 박상하 "절에서 대인기피증 치유… 떳떳한 아빠 되겠다"
- '텅 빈 격리군인 도시락' 사실이었다…육군 "더 관심 갖겠다"
- "리얼돌은 자아실현 도구이자 창작물" 수입업체 대표의 항변
- 문 대통령 "백신 사지마비 간호조무사 지원 방안 검토하라"
- 김병준 "김종인, 어린애 같아"... 전직 '구원투수'끼리 신경전
- 쥐불놀이하듯 강아지 학대한 20대 2명 '벌금형'
- 벤틀리 '주차 갑질' 공분 "아파트 주차장 통로 막고 경차칸에 걸치고"
- "마스크 썼는데?"... 발리서 추방 위기 놓인 미국인, 알고 보니
- 김학의 특별 관리한 이유… 윤중천 "검찰총장 될 분" 전방위 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