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조기 정상화위해 노사와 '민·관·정' 한 자리에

서동철 2021. 4. 21. 16: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일 경기도 평택시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열린 민·관·정 협력체 회의에서 정용원 쌍용차 관리인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지역 사회 대표와 노사가 한 자리에 모였다. 법정관리 졸업 10년 만에 다시 기업 회생 절차에 돌입한 쌍용차를 구하기 위해 지역 사회가 함께 나서 '쌍용차 살리기 운동'에 나서기로 힘을 모으려는 것이다.

쌍용차 조기 정상화를 위한 민·관·정 협력체는 21일 오전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경기 평택시와 쌍용차가 주최한 이 날 회의에는 정장선 평택시장과 정용원 쌍용차 법정관리인, 정일권 쌍용차 노조 위원장, 유의동·홍기원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회의체는 쌍용차의 경영 정상화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안정화에 적극적인 역할과 노력을 다하기로 결의하고 쌍용차 정상화 지원 범 시민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정용원 관리인은 인사말을 통해 "저희가 10년 만에 또 법정관리를 받게 된 것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죄송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임직원은 이번이 정말 마지막 기회라는 생각으로 뼈를 깎는 혁신을 하겠다"고 밝혔다. 정일권 노조위원장은 "대주주의 역할과 책임이 막중한데 일차적으로 대주주가 투자를 방치하고 신차 개발을 연기한 것이 원인이 됐다"며 "이차적으로는 경영진의 무능함 때문이다. 이 모든 위기를 극복하는 데 노조의 희생만 강요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그는 이어 "노조는 법정관리를 통해 기업회생 절차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사측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며 "쌍용차 6500명, 협력업체 포함 20만 노동자의 일자리 보장을 위해 각계각층의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쌍용차가 다시 법정관리를 받게 된 데 대해 많은 시민이 걱정하고 있다"며 "예전에도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했듯이 이번에도 잘 이겨내리라 믿고, 지자체 차원에서 지원할 게 있다면 모든 힘을 모아 돕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평택시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열린 민·관·정 협력체 회의에 정장선 평택시장과 정용원 쌍용차 법정관리인, 정일권 쌍용차 노조 위원장, 유의동·홍기원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충우 기자]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는 협력업체의 납품 거부로 조업이 중단된 생산 라인을 재가동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쌍용차는 일부 협력업체가 부품 납품을 거부하면서 23일까지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쌍용차 측은 협력업체의 부품 납품 거부로 중단된 생산라인을 재가동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의견을 피력하며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업체에 지급할 납품 대금을 현금 지원해주거나, 은행이 부품 납품 대금을 공익채권으로 간주해 담보로 대출해 주도록 건의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익채권은 회사 정리나 기업 재건 과정을 위해 쓴 비용에 대한 청구권이다. 회생 절차와 관계없이 변제받을 수 있다. 쌍용차의 공익채권 규모는 이미 3700억원이 넘는다.

하지만 평택시는 기업 지원 정책 자금이 대부분 중소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대기업인 쌍용차에 현금을 직접 지원하기는 어렵고, 공익채권 담보 대출 또한 은행 측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라 해결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쌍용차는 이날 회의 후 낸 보도자료를 통해 민·관·정 협의체가 정상화 서명 운동 전개 후 건의문 제출, SNS 릴레이 캠페인, 쌍용차 팔아주기 운동, 쌍용차·협력업체 자금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지원 활동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쌍용차는 다수의 인수 의향자가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해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다.

[평택 = 서동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