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백제시대 금동신발 2건 보물로 지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백제시대 금동신발 2건이 삼국시대 신발 유물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 등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그동안 삼국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이 보물로 지정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제시대 금동신발 2건이 삼국시대 신발 유물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 등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고창 봉덕리 1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고대인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5∼6세기 금속공예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이다.
그동안 삼국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이 보물로 지정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둘 다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신발들은 모두 5세기에 제작됐으며,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동신발은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 삼국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 나다. 비슷한 시기의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의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사례가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지난 2009년 발굴된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발목깃을 갖춰 앞쪽은 뾰족하면서 약간 위로 들려 있으며, 중간 바닥이 편평하고, 뒤쪽은 약간 좁아지면서 둥근 형태로 배 모양을 닮았다. 신발 바닥에는 1.7㎝ 높이의 뾰족한 못 18개를 규칙적으로 붙였고, 내부에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했다.
2014년 발굴된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현존하는 삼국시대 금동신발 중 유일하게 발등 부분에 용머리 장식을 부착하고 있다. 이 금동신발은 형태와 제작기법, 문양 등에서 고창 봉덕리 출토 금동신발과 유사하다. 얇은 금동판 4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깃판을 만들어 서로 작은 못으로 연결했고, 문양을 투각해 세부를 선으로 묘사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2종은 국내 최초 원형 그대로 발굴된 유물이라는 점에서 고고학과 역사적으로 의미가 크다"며 "지금까지 알려진 삼국시대 금동신발과 비교해 백제 공예문화의 독자성을 밝힐 수 있는 원천 유물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 또한 매우 높게 평가된다"고 말했다.
/최성욱 기자 secret@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천년고찰 고성 옥천사, 2년 연속 경남도 문화재바로알기 공모사업 선정
- 막걸리, 무형문화재 된다
- 민병찬 국립중앙박물관장 '가짜 문화재 논란, AI 등 활용한 과학적 감정으로 해결할 것' [서경이
- 장흥 천관산 국가 지정 문화재 명승 119호 지정
- [문화재의 뒤안길] 둔율동성당의 ‘성전신축기(聖殿新築記)’
- 다 타버린 비운의 내장사, 문화재는 '휴~'
- ‘보조금 못 받을라’ 아이오닉5 인도 지연 전망에 사전예약 취소 봇물
- [영상]전 세계 사로잡은 '코엑스 파도', 獨도 빠졌다
- '감옥생활 체험이냐' 군대 '부실 식사' 사진에 '국방비 어디로?' 공분 '일파만파'
- [영상] 물병만 핸들에 끼워놔도…테슬라 오토파일럿 속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