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보드 핫100 1위가 '밀양 박씨'라고?

강영운 2021. 4. 20.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브루노마스·앤더슨 팩 협업한
'리브 더 도어 오픈' 1위에 올라
전쟁고아 한국계 어머니 둔
앤더슨 팩 '밀양박씨' 별칭
한국계 흑인 아티스트 앤더슨 팩(왼쪽)과 브루노 마스가 협업한 `리브 더 도어 오픈`이 4월 둘째 주 빌보드 핫100 1위에 올랐다. [사진 제공 = 워너뮤직]
"빌보드 핫100 1위에 밀양 박씨가 올랐다." "밀양 박씨 최고의 아웃풋(인물)!"

미국 빌보드 4월 둘째 주 핫100 차트 1위는 '리브 더 도어 오픈(Leave the door open)'이 차지했다. 마이클 잭슨 이후 최고의 팝 아티스트라는 브루노 마스와 앤더슨 팩이 결성한 밴드 '실크소닉'의 작품이다. 미국 팝에 정통한 네티즌들 사이에선 "드디어 밀양 박씨가 빌보드까지 접수했다"며 우스갯소리를 쏟아냈다. 푸에르토리코계 아티스트 브루노 마스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팩이 밀양 박씨와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답은 앤더슨 팩의 가정사에 있다. 그의 어머니는 6·25전쟁 당시 혼혈 고아였다. 아프리카계 미군과 한국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나 고아원에 버려졌다. 그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한 가정에 입양된 뒤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결혼해 앤더슨 팩과 여동생을 낳았다. 앤더슨 팩에겐 25% 한국인의 피가 흐르고 있는 셈이다.

이름이 앤더슨 팩(PAAK)이 된 이유도 애달프다. 어머니가 미국에 입양될 당시 박의 영어 스펠링 'PARK'가 'PAAK'로 표기됐다. 행정상 오류였지만 앤더슨 팩은 이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았다. 가정 폭력이 심했던 아버지가 집을 떠나고, 어머니 밑에서 홀로 자란 영향도 컸다. 앤더슨 팩은 한국과 인연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음악 공부를 위해 미국에 온 한국인 유학생 제이린과 부부의 연을 맺었다. 2015년에는 한국 R&B 가수 딘의 '풋 마이 핸즈 온 유' 피처링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번 핫100 1위에 오른 '리브 더 도어 오픈' 뮤직비디오를 본 한 네티즌은 "앤더슨 팩에게서 우리 할아버지의 얼굴이 보인다"며 친근감을 표시한다. 미국 팝 음악시장에서 앤더슨 팩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2018년 5월 발표한 싱글 '버블린(Bubblin)'으로 2019년 제61회 그래미상 '최우수 랩 퍼포먼스' 부문에서 수상했다. '버블린'은 그가 직접 작곡하고 노래한 곡이다. 고향인 캘리포니아 항구 도시 벤투라를 배경으로 한 동명 앨범으로 올해 그래미 '최우수 R&B 앨범'도 거머쥐었다.

이번 핫100 차트 1위 '리브 더 도어 오픈'이 남긴 의미가 작지 않다. 빠른 템포 디스코나 전자음이 가득한 음악이 차트 상위권을 독식하는 현 흐름과 반대되기 때문이다. 멤버들끼리 노래를 주고 받고, 그 사이를 드럼·기타·피아노 등 악기 소리가 흐른다. 전형적인 아날로그 감성이다. 여성을 유혹하는 듯한 느끼한 가사와 그에 걸맞은 유혹의 제스처도 발군이다. 1970년대 감성을 그대로 재현했다는 평가다. 브루노 마스에게는 통산 8번째 핫100 1위, 앤더슨 팩에겐 첫 번째였다. 바야흐로 '밀양 팩씨' 전성시대다.

[강영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