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코로나에도 국산 처방의약품 성장세

송연주 2021. 4. 20. 11: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분기 코로나19 여파에도 국산의약품들이 처방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20일 의약품 시장조사자료 유비스트 분석 결과 올해 1분기 원외처방액 상위 20개 의약품 중 국내 제약사의 제품들은 상당수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같은 성장은 출시된 지 오래된 의약품이 많이 포진된 처방 상위 제품들 중 국산 신약의 경우 상대적으로 출시된 기간이 짧아 특허만료에 따른 보험약가 인하와 제네릭 출시 이슈가 없는 영향이 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수젯·케이캡·글리아티린·유트로핀 등 성장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지난 1분기 코로나19 여파에도 국산의약품들이 처방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20일 의약품 시장조사자료 유비스트 분석 결과 올해 1분기 원외처방액 상위 20개 의약품 중 국내 제약사의 제품들은 상당수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미약품의 이상지질혈증 복합제 ‘로수젯’은 전년 동기보다 16.3% 증가하며 다년간 1위 품목인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피토’(화이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로수젯의 1분기 원외처방액은 266억원이다.

2018년 허가받은 이노엔(inno.N)의 30호 국산 신약 ‘케이캡’은 54.7% 증가한 225억원을 기록했다. 이 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LG화학의 당뇨병 복합제 ‘제미메트’는 12.2% 증가한 208억원을 기록했다. 제미메트는 LG화학이 지난 2012년 국산 신약 19호로 허가받은 당뇨병 치료제 ‘제미글로’의 복합제다.

종근당이 도입한 뇌기능 개선제 ‘종근당 글리아티린’은 콜린알포세레이트 성분 약품의 건강보험 급여가 축소될 수 있다는 압박에도 전년 동기보다 1.2% 오른 198억원을 기록했다. 동일 성분의 대웅바이오 ‘글리아타민’(232억원) 역시 1.7% 감소하는 수준으로 선방했다.

LG화학의 바이오시밀러 ‘유트로핀’(성장호르몬제)은 108.4% 증가한 179억원을 기록했다. 셀트리온제약의 간장용제 ‘고덱스’는 1.6% 증가한 165억원이다.

이 같은 성장은 출시된 지 오래된 의약품이 많이 포진된 처방 상위 제품들 중 국산 신약의 경우 상대적으로 출시된 기간이 짧아 특허만료에 따른 보험약가 인하와 제네릭 출시 이슈가 없는 영향이 크다. 또 국내 시장 수요 증가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출시된 복합제나 도입제품들도 포함됐다.

제품별로 보면 지난 1999년 국내 시장에 나온 한국화이자제약의 ‘리피토’는 전년 동기보다 8.5% 감소한 430억원이다. 여전히 1위를 고수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고혈압치료제 ‘트윈스타’는 7.7% 감소한 218억원, 한독의 항혈전제 ‘플라빅스’는 7.5% 감소한 213억원이다. 길리어드사이언스의 B형간염 치료제 ‘비리어드’는 5.0% 감소한 200억원, 아스트라제네카의 이상지질혈증치료제 ‘크레스토’는 7.5% 감소한 197억원이다.

한미약품 고혈압 복합제 ‘아모잘탄’은 4.2% 감소한 195억원, 노바티스 고혈압 치료제 ‘엑스포지’는 5.8% 감소한 190억원을 기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