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 눈]집밥의 소중함 되새겨준 '집밥포럼'

최은영 2021. 4. 19. 0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하루 3번, 일주일 21번, 한해 1095번.

지난 16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한 이데일리 포럼 행사의 주제를 '집밥'으로 잡은 것은 그래서다.

사전 행사로 진행한 '집밥포럼 백일장'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우리에게 집밥이 그랬는지 모르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최은영 소비자생활부장] 하루 3번, 일주일 21번, 한해 1095번. 우리는 습관적으로 먹고 마신다. 최근에는 무수히 많은 먹거리 가운데 코로나와 함께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집밥’에 매몰돼 산다.

요즘처럼 집밥을 많이 먹은 적이 또 있을까. 레스토랑 음식도 집에서 배달해 먹고, 처량하거나 외롭게 느껴졌던 혼술·홈술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 사회적으로 거리를 둬야하는 코로나 시대, 사람들은 집에서 밥심으로 위기를 극복해내고 있다.

안도현 시인의 ‘너에게 묻는다’를 패러디한 시 ‘떡볶이’.(자료=강사 제공)
지난 16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한 이데일리 포럼 행사의 주제를 ‘집밥’으로 잡은 것은 그래서다.

요즘 사람들에게 집밥은 어떤 의미일까. 사전 행사로 진행한 ‘집밥포럼 백일장’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집밥’으로 이행시 짓기에 응모한 작품들이다.

합금지니까 / 은 집에서’(임**, 이하 페이스북 이벤트 참가자 ID), ‘밖을 나가는 게 두려워서 / 을 집에서만 먹어요’(이**), ‘콕시간이 늘다보니 / 도 먹고 간식도 먹고 ’확찐자‘가 되었어요’(명**)

코로나로 달라진 ‘집밥 풍속’이 읽힌다.

에 좀 들어와라 / 해놨다’(M**), ‘으로 들어가는 행복한 발걸음 / 은 엄마이자 사랑입니다’ (김**)

누군가에게 집밥은 ‘그리움’이자 ‘사랑’이었다.

요하게 건드려도 좋은데 / 그릇은 건들지 말자’(올*), ‘에 가면 뭐하나 / 도 없는데’(김**), ‘사람이 말했다 / 은 먹고 들어와 좀’(김**)

밥벌이의 고단함, 괴로움도 엿보인다.

특히 병마와 맞서 싸우는 한 지인의 말은 묵직했다. 그는 자신에게 ‘집밥’은 ‘전투식량’이라고 했다. 그날그날의 몸 상태에 맞춘 집밥이 곧 생명줄이라는 것이다. 그는 “편히 누워 잠을 청하고 먹고 싶은 음식을 마음껏 먹는 것의 소중함을 몸이 아프고 난 뒤 알았다”며 “이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는 말도 했다.

종합해보면 이렇다. ‘밥으로 건강과 맛은 더하고, 힘들었던 하루의 고단함은 덜어내고 / 심으로 일상의 행복은 곱하고, 따스한 온기를 집밥으로 나누고’(갸*)

친구나 가족 등 가깝게 붙어 지내는 사람일수록 관심이 덜해지고 소홀해지기 마련이다. 우리에게 집밥이 그랬는지 모르겠다. “밥은 먹었니?” “밥 한 번 같이 먹자!” 같은 정겨운 인사가 더욱 절실하게 그리워지는 요즘이다.

이번 강연에서 한국인의 밥상을 대표하는 매운맛을 중심으로 ‘집밥’의 역사를 이야기한 임규태 박사는 안도현의 시 ‘너에게 묻는다’를 각색해 청중에게 물었다.

“떡볶이(집밥) 함부로 무시하지 마라 / 너는 누군가를 한번이라도 울려본 적이 있느냐”

간편식, 밀키트, 배달음식 등 집밥의 형태는 바뀌었지만 여전히 집밥은 집밥이다. 우리 가족이 먹는 음식이어서 더 건강하고, 세상 마음 편히 먹을 수 있는 밥이어서 더 맛나다.

제1회 이데일리 집밥 포럼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KG타워 하모니홀에서 열렸다. 박혜연(왼쪽부터) 이데일리TV 아나운서, 임규태 박사,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푸드비즈랩 교수, 박태희 우아한형제들 홍보실장, 홍준의 한국주류수입협회 홍보고문이 ‘집밥’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최은영 (eun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