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고화질 영상 데이터 소비량 40% 줄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네이버가 고화질 영상을 볼 때 데이터 소비량을 최대 40% 줄이는 기술을 개발해 연내 본격 서비스한다.
네이버는 100만 건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인공지능(AI)에 학습시켜 이 기술을 구현했다.
향후 기술 적용이 확대되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나, 야구 축구 등 스포츠 영상을 볼 때도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사용량 민감 MZ세대 공략
네이버는 ‘AI최적화인코더’ 기술을 연내 네이버TV 등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는 동영상 화질은 유지하면서 용량은 줄이는 기술이다. 동영상을 플랫폼에 올릴 때 ‘트랜스코딩(파일 변환)’이라는 작업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영상을 일정 구간으로 쪼개 구간별로 최적의 옵션을 설정한다. 구간별로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화질의 상한선을 결정해 필요 이상 고화질로 만들지 않으면서도 압축률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네이버는 100만 건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인공지능(AI)에 학습시켜 이 기술을 구현했다. 창작자가 영상을 업로드하면 인코더가 이미 학습했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로드되는 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구간별로 최적점을 맞추는 작업을 반복한다.
네이버는 2019년 4월부터 1년 반 동안 이 기술을 개발해 지난해 12월 동영상 서비스 ‘브이라이브’의 주문형비디오(VOD)에 처음으로 적용했다. 이용자가 영상을 관람할 때 화질은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소비를 20∼40%까지 절약할 수 있게 만들었다. 향후 기술 적용이 확대되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나, 야구 축구 등 스포츠 영상을 볼 때도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화질 영상시대에 ‘인코딩 개발’은 넷플릭스 등 국내외 동영상 서비스 업체들이 공을 들이는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화질이 올라갈수록 이용자는 데이터 부담이 커지고 사업자들은 서버 용량이 비용으로 뒤따르는데, 기술력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넷플릭스의 앤디 로 디렉터는 2019년 미디어데이에서 “장면당 인코딩 방식으로 데이터를 최대 60%까지 절약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굶으며 버티는 청춘…청년 37% “돈 없어 끼니 거른 적 있어”
- 취업난 청년들 “아낄건 식비뿐”… 3000원 식당 찾고, 하루 두끼만
- “유통기한 임박한 음식 반값 할인” 앱 인기
- 자영업 무너지자 알바마저 잘리는 청년들… 경제고통지수 최악
- “경력 없네요” “30대는 좀…” 66곳 중 63곳 알바 면접도 못봐
- “한국은 왜 美처럼 백신 직접 못만드나…정답 외우는 주입식 교육엔 미래 없어”
- [박제균 칼럼]또다시 ‘개돼지’ ‘가붕개’ 안 되려면
- [단독]정부 “바이든, 6월 더 강한 ‘반도체 청구서’ 보낼것”… 기업들 비상
- 40대 간호조무사, AZ백신 맞고 뇌척수염으로 사지마비
- 동학개미 공매도 활성화…“오히려 독 될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