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로 만나는 5·18 민주화운동

박성준 2021. 4. 18. 20: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뮤지컬 '광주'(사진)는 1980년 5월 27일 새벽에 전남도청을 지킨 이들에 대한 이야기다.

'서울의 봄'에서 전국으로 불기 시작한 민주화 바람을 신군부는 광주에서 본보기 삼아 군홧발로 억누른다.

주인공 박한수는 계엄군 편의대원으로서 일촉즉발 상태인 광주 시위대에 숨어들어 '폭동 유도'라는 비밀임무를 수행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 25일까지 재연 무대
뮤지컬 ‘광주’(사진)는 1980년 5월 27일 새벽에 전남도청을 지킨 이들에 대한 이야기다. 막이 오르면 시간은 1980년 5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의 봄’에서 전국으로 불기 시작한 민주화 바람을 신군부는 광주에서 본보기 삼아 군홧발로 억누른다. 주인공 박한수는 계엄군 편의대원으로서 일촉즉발 상태인 광주 시위대에 숨어들어 ‘폭동 유도’라는 비밀임무를 수행한다.

예민한 이슈를 다룬 역사물이지만 작·연출을 맡은 고선웅은 “이 작품이 뮤지컬 자체로 인정받기를 원한다”고 강조한다. 그의 바람대로 오페라 ‘1945’에 이어 고선웅과 두 번째로 함께 작업한 작곡가 최우정은 현대사를 다룬 역사물로서 ‘광주’가 지닌 무게를 흩트리지 않으면서 음악극으로서도 높은 가치를 불어넣었다.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가로서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님을 위한 행진곡’과 쌍을 이뤄 ‘투쟁가’를 반복 연주하면서 감정을 고양시킨다.

지난해 초연 당시엔 “하필 계엄군을 주인공 삼아 오월 광주를 보여주냐”는 비판과 몇몇 장면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됐다. 재연에선 박한수 고향을 광주로 인물 설정을 바꾸었다. 그러면서 마지막 장면에 박한수가 40년 만에 편의대 진상을 폭로하며 도청에서 죽은 이들에게 사죄하는 장면을 넣어 서사를 강화했다.

이처럼 재연 무대에 크고 작은 변화가 있지만 큰 줄기는 그대로다. 계엄군 대 시민군 대립보다 시민군 내 무장투쟁파와 비폭력파 갈등이 여전히 극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5·18 민주화운동의 본질과 비극성을 보여주기 위한 선택이다. 힘으로 계엄군에 맞서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야학교사 윤이건은 명령과 정의 사이에서 흔들리는 박한수와 비교되는 신념을 지닌 진짜 주인공이다. 마지막 항전을 앞두고 윤이건은 “오늘 우리는 패배할 겁니다. 하지만 먼 훗날 역사는 우리를 승리자로 기억할 겁니다”라며 결사항전을 다짐한다. 서울 LG아트센터에서 4월 25일까지.

박성준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