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속도내는 코로나 접종..성인 절반이 최소 1회 접종 마쳐

류지복 2021. 4. 18. 06: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지면서 성인의 절반이 최소 1회 접종을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집계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오전 6시 기준 18세 이상 성인 중 1억2천832만 명이 적어도 1회 접종을 끝냈다.

18세 미만까지 포함한 전체 인구로 따지면 최소 1회 이상 접종이 39.0%인 1억2천949만 명, 면역에 필요한 접종을 모두 끝낸 이들은 24.8%인 8천247만 명으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인 중 1회 이상 접종자 49.7%..65세 이상에선 80.7%
미국 코로나19 백신3종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지면서 성인의 절반이 최소 1회 접종을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집계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오전 6시 기준 18세 이상 성인 중 1억2천832만 명이 적어도 1회 접종을 끝냈다.

전체 18세 이상 중 49.7%에 해당하는 수치로, 두 명 중 한 명은 예방주사를 맞은 것이다.

특히 65세 이상 성인 중에는 80.7%인 4천416만 명이 최소 1차례 접종했다.

면역 형성에 필요한 접종을 모두 끝낸 이는 18세 이상 기준 8천220만 명으로 31.8%였고, 65세 이상 중에는 이 비율이 65.3%로 나타났다.

18세 미만까지 포함한 전체 인구로 따지면 최소 1회 이상 접종이 39.0%인 1억2천949만 명, 면역에 필요한 접종을 모두 끝낸 이들은 24.8%인 8천247만 명으로 집계됐다.

투여된 백신은 종류별로 화이자 백신이 1억708만 회 분으로 가장 많고, 모더나 백신도 9천71만 회 분이 쓰였다. 존슨앤드존슨의 얀센 백신은 790만 회가 투여됐다.

앞으로 접종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지금까지 의료진, 고령자, 기저질환자 등에 접종 우선권을 줬지만 19일부터는 모든 성인이 백신 접종 자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얀센 백신의 경우 투여자 중 극히 일부에서 혈전 현상이 발생해 사용 중단 권고가 내려져 있지만, 물량이 충분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만으로도 대처가 가능한 상황이다.

미 당국은 얀센 백신 중단 이후 물량 부족보다는 오히려 백신 기피증이 커져 접종 행렬이 줄어들까 더 우려하며 접종을 독려하는 분위기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미국이 유럽 등 다른 나라보다 더 효과적으로 백신을 배포해 왔다며 향후 몇 주간 면역 형성에 필요한 접종을 완전히 끝낸 이들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jbryoo@yna.co.kr

☞ 이하늘 친동생 45RPM 이현배 사망…사인 조사 중
☞ '62명 사상' 제주대 4중 추돌 트럭, 왜 멈추지 못했나
☞ 미 해군 피라미드 모양 UFO 발견…"역대 최고로…"
☞ "논산 저수지 사고 차량 빌린 사람과 운전자 달라"
☞ "왜 다른남자 만나?"…옛 여친 폭행한 전직 운동선수
☞ '다이아 150개' NC 우승 반지 공개…케이스는 집행검
☞ 유시민, '대권도전설'에 "뇌피셜…장난감 취급말라"
☞ 접근금지 명령에도 아내 찾아간 70대, 숨어있다가 살해 시도
☞ 성범죄 전과 3번인데 또 성폭행…징역 10년
☞ 한국계 10대 여성에게 '북한 X녀'…흑인이 괴롭히고 폭행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