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는 대부분 모세혈관 손상으로 발생하지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린 자녀가 코피를 흘리는 모습을 보고 심장이 철렁 내려앉는 경험을 한 부모가 적지 않다.
특히 기온과 습도 변화가 심할 때 콧속이 건조해지면서 생긴 코딱지로 인해 코 점막이 손상되고 혈관이 쉽게 터져 코피가 발생한다.
심장이 좋지 않은 경우 복용하는 아스피린을 포함한 항응고제를 복용할 때도 자주 코피를 흘릴 수 있다.
김경수 교수는 "코피 증상의 90% 정도는 코 앞쪽 모세혈관 자극에 의한 혈관이 손상돼 발생한다"며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을 가진 고령인도 자주 코피를 흘리게 된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린 자녀가 코피를 흘리는 모습을 보고 심장이 철렁 내려앉는 경험을 한 부모가 적지 않다.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생긴 것인지, 온갖 생각이 머리에 떠오르고 손과 발이 덜덜 떨린다.
대부분의 자녀는 코 앞쪽의 모세혈관이 자극을 받고 혈관이 손상돼 코피를 흘린다. 습관적으로 코를 파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코피를 흘릴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경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코피의 원인은 크게 국소적, 전신적 원인으로 나뉜다”고 했다.
국소적 원인은 외부 충격에 의한 기계적 외상, 코를 둘로 나누는 벽인 비중격과 비강 질환, 콧속 점막 염증으로 코피가 난다.
전신적 원인은 혈액 응고 장애, 동맥경화증,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외상 사고는 코피를 흘리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코를 자주 후비면 코피가 나오기 쉽다. 특히 기온과 습도 변화가 심할 때 콧속이 건조해지면서 생긴 코딱지로 인해 코 점막이 손상되고 혈관이 쉽게 터져 코피가 발생한다.
코 앞쪽 부분에 혈관이 모여 있는 부위는 ‘키젤바흐 부위(Kiesselbach’s Area)’로 부른다. 아이들이 손가락으로 코를 후비다가 자극하기 쉬운 위치에 있다.
아이가 자주 코피를 흘린다면 특정한 질병이 없는 한 키젤바흐 부위를 자극한 경우가 많다. 콧속 가운데를 둘로 나누는 뼈와 연골 부분이 반듯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휘거나 돌출된 비중격만곡증, 염증 등도 점막을 건조하게 만들고 코피가 쉽게 생기는 원인이다.
코피를 자주 흘리는 원인 질환의 하나가 혈소판 감소증이다. 혈소판 감소증에 의한 질병은 백혈병과 다발성 골수종, 혈우병, 특발성 혈소 감소성 자반증 등이 대표적이다. 심장이 좋지 않은 경우 복용하는 아스피린을 포함한 항응고제를 복용할 때도 자주 코피를 흘릴 수 있다.
동맥경화증과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 성홍열, 천연두, 장티푸스, 백일해 등의 질환도 코피가 생기는 질환이다. 드물지만 중금속에 중독돼도 코피를 흘리게 된다.
김경수 교수는 “코피 증상의 90% 정도는 코 앞쪽 모세혈관 자극에 의한 혈관이 손상돼 발생한다”며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을 가진 고령인도 자주 코피를 흘리게 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쌍코피로 부르는 양측성 비출혈은 드물지만 출혈이 심한 경우에 해당한다”며 “여기에 혈액 질환이나 중증 외상 등이 의심돼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피 치료법은 원인 질환에 따라 화학 소작법, 전기 소작법, 레이저 광응고법, 전비강 패킹, 비중격성형술, 후비공 패킹, 내시경 소작술, 동맥결찰술 등 다양한 편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소작법이나 패킹을 시도한다. 소작법은 병적 조직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바꿔 치료하는 방식이다. 열과 고주파, 약물 등이 대표적이다. 피가 잘 멈추지 않거나 고혈압 등의 질환이 있으면 해당 질환을 치료하면서 지혈을 시도한다. 코 구조에 문제가 있고 반복적으로 출혈이 있으면 수술 치료를 한다.
일상생활에서는 목뒤에 얼음주머니를 대거나 얼음 물로 콧속을 세척하면 혈관이 수축돼 코피를 멈추는 데 효과적이다. 조용히 앉아서 머리를 앞으로 숙이는 것만으로도 출혈을 멈출 수 있다. 입으로 숨을 쉬고, 코 안에 솜을 넣은 후 양쪽 콧구멍을 15분 정도 손가락으로 눌러 주는 것도 좋다.
김 교수는 “과로와 극도의 긴장감을 느끼지 않아야 하고, 재채기를 할 때 입을 벌리 게 좋다”며 “집안이 건조하지 않게 습도를 높이거나 콧속에 생리식염수 뿌리기, 코 후비는 습관을 버려야 코피를 예방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1년에 1~2회 정도 코피를 흘린다면 추가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없다”며 “다만 코피를 자주 흘리고 15분 넘게 멈추지 않으면 다른 질환에 의한 증상일 수 있어 반드시 병원을 찾아 검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월호 의인' 김동수씨 부인이 "사실은 나도 지겹다"고 한 이유
- 배낭족에 친절했던 남자… 알고 보니 연쇄살인마였다
- '사유리 '슈돌' 출연 반대' 청원에...제작진 "가족의 성장 지켜봐 달라"
- 美 3차 접종에 日은 '백신외교'...문 대통령이 백신 구해와야 할 판
- 어떤 문자 받았길래... "女 택배기사, 정신적 공황상태"
- '군가산점 부활용 개헌'까지...이남자에 놀란 與의 얄팍한 처방
- 서울은 340년 전에도 집 마련 어려웠다
- 홍준표 "文, 권력 영원하지 않아… 이명박·박근혜 사면해야"
- 금융위원장·농림장관도 바꾼다...홍남기 등 2차 개각 임박
- 美 한국계 10대 여성, 3시간 동안 성희롱·폭행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