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2조7000억원 투자해 GM과 배터리 제2공장 설립

문창석 기자 2021. 4. 17.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테네시주에 35GWh 규모 공장 건설..2023년 양산
1공장 포함 총 70GWh.."美 그린에너지 핵심기지"
16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州) 내슈빌의 주 박물관에서 열린 제2 합작공장 투자 발표 행사해 참석한 빌 리 테네시주 주지사와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메리 바라 GM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LG에너지솔루션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 미국 1위 자동차 업체인 GM(General Motors)과 전기차 배터리 제2 합작공장을 설립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16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州) 내슈빌의 주 박물관에서 제2 합작공장 투자 발표 행사를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합작법인인 '얼티엄 셀즈'를 통해 제2 합작공장에 총 2조7000억원을 투자해 2024년 상반기까지 35기가와트(GWh) 이상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창출되는 일자리는 1300명이다.

공장 부지는 테네시주 스프링힐(SpringHill) 지역으로 연내 착공해 2023년 하반기에 양산할 계획이며, 제1 합작공장과 배터리를 생산해 GM의 차세대 전기차에 공급한다.

메리 바라 GM 회장은 "합작 파트너인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미국에 두번째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우리가 전기차 미래로 전환하기 위한 또다른 주요 단계"라고 말했다.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GM과 전기차 확대에 적극 나서 미국 그린 뉴딜 정책 성공에 기여할 것"이라며 "배터리 생산뿐만 아니라 R&D부터 제품 개발 및 원재료 조달까지 미국 내에서 차별화된 안정적인 공급망 체계를 갖추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윗줄 왼쪽부터 빌 리 테네시주 주지사,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메리 바라 GM 회장, 은기 LG에너지솔루션 상무(얼티엄셀즈 법인장), 아랫줄 왼쪽부터 모리 카운티 테네시주 앤디 오글스 시장, 김영준 애틀랜타주 총영사, 빌 해거티 테네시주 연방 상원의원, 마샤 블랙번 테네시주 연방 상원의원, 밥 롤프 테네시주 상공부장관(LG에너지솔루션 제공). © 뉴스1

이번 투자를 통해 GM과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내 대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양사는 현재 오하이오주에 35GWh 규모의 배터리 제1 합작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동일 규모의 배터리 제2 합작공장을 테네시주에 설립한다.

2개의 합작공장에선 2024년까지 총 70GWh 이상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는 1회 충전 시 5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고성능 순수 전기차를 100만대나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중국 및 유럽과 함께 세계 3대 전기차 시장으로 손꼽히며 성장도 빠르다.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시장은 올해 110만대에서 2023년 250만대, 2025년 420만대 등 연평균 40%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이 투자 발표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LG에너지솔루션 제공). © 뉴스1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대하는 건 미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 기조와 파트너인 GM의 전기차 확대 계획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서다.

최근 미국은 본격적으로 그린뉴딜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위해 그린 에너지 분야에만 4년 동안 2조달러(약 2234조원)를 투자한다.

우선 정부 관용차 300만대를 전기차로 교체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스쿨버스 50만대 구매 정책을 도입한다. 또 전기차 구매를 장려하기 위한 구매 인센티브 확대, 전기차 충전소 50만개 설치 등 시장 수요 견인 정책도 마련한다.

여기에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라는 리쇼어링 정책도 운영한다. 미국산이 아닌 전기차를 미국에 판매할 경우 10%의 징벌세를 부과한다. 미국산 전기차의 필수 조건은 배터리 셀 현지 생산이다.

북미 1위 완성차업체인 GM도 이런 변화에 발맞춰 적극적으로 북미 및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30여개의 글로벌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이 중 20여개의 전기차 모델은 북미에서도 판매할 계획이다.

2025년에는 판매 차량의 40%는 전기차로만 판매해 전기차 100만대 이상 판매와 북미 시장 내 전기차 판매 1위라는 목표를 세웠다. 목표달성을 위해 2025년까지 전동화·자율주행 분야에 대한 투자금액을 기존 200억 달러에서 270억달러로 상향하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투자해 대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미국 전기차 배터리 공장은 GM의 북미 전기차 1위라는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미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까지 지원하는 핵심 기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이 투자 발표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LG에너지솔루션 제공). © 뉴스1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GM과의 합작공장 이외에도 2025년까지 5조원 이상을 단독 투자해 미국에만 독자적으로 70GWh 이상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투자가 이뤄지면 LG에너지솔루션의 독자적인 생산능력은 기존 미시간 공장(5GWh)와 함께 총 75GWh로 늘어난다. 이에 GM과의 합작공장 70GWh와 합쳐 미국 내 총 145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 200만대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시장 전체에서 세계 최대인 120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폴란드·중국 등의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능력을 지속 확대해 2023년까지 260GWh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260GWh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를 370만대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themo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