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2006년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 참패에서 배워야..민주당의 앞날은

이민영 2021. 4. 17.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2년 지방선거에서 이명박 서울시장 당선..민주당 참패
친노·비노 갈등..정몽준과 단일화로 노무현 대통령 승리
2006년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열린우리당 '전북당' 오명
4대 개혁 반성 없이 친노·비노 당권 경쟁, 대통합민주신당으로
이명박 대통령 당선, 정동영 패배 후 통합민주당으로 재편
노무현 전 대통령 생전 모습. 노무현재단 제공

 더불어민주당이 4.7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이후 과거 패배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당 안팎에서 분출하고 있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과 2006년 열린우리당 당시 지방선거 패배 후 과정이 재조명받는 가운데 친문 핵심 윤호중 원내대표를 새로 선출한 민주당이 쇄신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선거를 마무리할 때마다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2002년 12월 18일, 16대 대선 전날이다. 눈물 나는 승리였다.”

 송영길 의원은 지난 7일 페이스북에 2002년 대선 승리 당시의 상황을 회고했다. 민주당에게 드라마같던 승리를 안겨준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은 선거 때마다 거론되는 행복한 추억이다.

 2002년 6.13 지방선거와 16대 대통령선거의 차이는 6개월에 불과했다. 이번에도 대선이 11개월 남았다는 점이 그때와 유사하다. 1995년부터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이번처럼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1년 내에 치러진 경우는 2002년과 이번 뿐이다. 당시 새천년민주당은 광역단체장 4곳, 기초단체장 44곳만 지키며 패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광역단체장 11곳, 기초단체장 140곳을 휩쓸었다. 당시 서울시장으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부산시장에 한나라당 안상영 후보가 당선됐다.

 새천년민주당은 노무현 대통령을 대선 후보로 이미 선출한 상태였다. 지방선거 참패 이후 노 후보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의 경쟁에서 고전하며 입지가 흔들렸다. 그러자 친노와 비노로 당내 계파가 나뉘면서 갈등하기 시작했다. 노 후보가 재신임을 받은 이후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동교동계를 포함한 비노 그룹은 정몽준 의원과 후보 단일화를 요구했다. 이들은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후단협)라고 불리며 집단으로 탈당했는데,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을 떠난 의원은 20여명에 달했다. 결국 노 후보는 단일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여론조사를 거쳐 최종 후보로 확정됐다. 단일화 효과 덕분에 노 후보는 대통령에 극적으로 당선됐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창당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2.6 연합뉴스

 “2006년 지방선거가 제일 기억이 난다. 당시 기억이 아프게 남아있어서 초선의원들에게 그런 기억은 남겨드리고 싶지 않았다. 내년에 2007년과 같은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선거 다음날인 지난 8일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해단식에서 언급한 2006년 5.31 지방선거와 2007년 17대 대선은 민주당으로서는 다시는 떠올리기 싫은 악몽이다. 박 의원은 열린우리당이 참패한 당시를 회상하며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당선된) 2007년 대선은 생각하고 싶지 않으나 내년 대선이 똑 닮았다”며 “우리 후손을 위해 내년에 2007년과 같은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시 지방선거에서 참패하며 열린우리당은 ‘전북당’이란 오명을 얻었다. 광역단체장 중에 전북지사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나라당에 남겨줬다. 전남지사와 광주시장은 민주당이 가져갔다. 서울시장에는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가, 부산시장에는 허남식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되는 등 광역단체장 16곳 중 12곳, 기초단체장 230곳 중 155곳을 한나라당이 장악했다. 열린우리당 등 민주당계 정당은 선거를 시작으로 3연패의 수렁으로 빠졌다.

 참패의 충격을 수습하기 위해 정동영 대표가 사퇴하고 김근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출범했지만 갈등은 봉합되지 않았고 정동영, 김근태를 향한 ‘2선 후퇴론’이 일각에서 제기됐다. 당시 참여정부는 국가보안법, 사립학교법, 신문법, 과거사진상규명법 등 4대 개혁을 밀어붙이면서 국민 반감이 거셌는데, 이에 대한 제대로 된 반성 없이 친노와 비노가 당권을 두고 경쟁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그해 7월과 10월 재보선에서 완패했다. 2007년부터 시작된 탈당 러시로 인해 대통합민주신당과 합당하며 열린우리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대통합민주신당은 이듬해 대선에서 정동영 후보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참패하면서 통합민주당으로 거듭났다.

 민주당은 2002년과 2006년 지방선거 패배 이후 계파 갈등을 겪으며 쇄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이 승리했지만 단일화가 없었다면 당선은 쉽지 않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2002년과 2006년 모두 지방선거 이후에도 기존 정책이나 기조에 대해 제대로 반성하지 않고 당권을 두고 경쟁하는 등 쇄신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이 같다”며 “인적 쇄신, 제대로 된 개혁 없이는 내년 대선도 2007년처럼 패배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