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슬픈 재개발의 꿈

남상훈 2021. 4. 16. 22: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삶의 애환 담긴 재개발 아파트
벼랑 끝 내몰려 빼앗기듯 처분
팍팍한 삶 앞에 우정도 무너져
지지고볶던 그들, 지금 어디에

임차인 순미는 마흔다섯이다. 사남매 중 셋째로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바다를 면한 작은 고향 마을을 떠나 기숙사가 있는 공장에서 삼 년간 2교대로 일했고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사 년을 살다 한국으로 돌아왔는데 병원 신세를 오래 지게 된다. 임대인 만옥은 금방 재개발이 된다는 말에 혹해 있는 돈 없는 돈 다 긁어모아 빚까지 내서 다 쓰러져가는 낡은 집을 샀다. 열 평이 채 안 되는 집이지만 거실과 방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해가 잘 들지 않는 대신 창이 큰 편이라 통풍이 잘 되는 그 집은 쓰러진 남편의 병원비를 대며 간신히 살아가는 그녀의 유일한 희망의 거처다.

김혜진의 단편 ‘목화맨션’에 나오는 두 인물의 프로필이다. 그녀들은 이 낡은 집을 둘러싸고 세 번에 걸친 재계약을 감행하며 거의 팔 년 가까운 시간 동안 이런저런 내밀한 인연을 이어간다. 시작은 냉면이다. 혼자서 이삿짐을 정리하는 순미의 처지가 딱해 만옥이 짐 정리를 도와주게 되고 그게 고마워 순미가 냉면을 산다. 이후 그녀들은 직접 쑨 묵과 제대로 익지 않은 수박, 인절미, 냉국수 따위를 주고받고 같이 먹으며 서로의 마음을 위로하는 처지에 이른다. 물론 늘 좋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임차인과 임대인 관계가 어떻게 좋기만 할 수 있으랴. 그녀들은 깨진 변기와 망가진 전등 등의 수리를 둘러싸고 실랑이를 벌이기도 하고, 재개발로 인해 계약기간이 끝나기 전 이사할 경우 이사비 백만 원을 지급한다는 조항을 달고서야 재계약을 하기도 한다.
신수정 명지대 교수 문학평론가
그러나 그래 봤자다. 갈등은 오래가지 않는다. 두 사람 다 사정이 딱하긴 거기서 거기다. 뒤늦게 택시를 모는 남자와 결혼한 순미는 장마로 맨션이 침수되었을 때 택시가 물에 잠기는 바람에 재산상의 피해를 보지만 그것을 영영 복구하지 못한다. 만옥도 마찬가지다. 물난리 덕분에 재개발사업이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여겼던 기대가 빗나가고 남편의 상태는 더 나빠지며 은행 두 곳이 파산하면서 담보대출 이자가 가파르게 상승한다. 적금을 깨고, 연금보험을 해지하고, 살고 있는 집의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며 급한 일들을 해결해보려 하지만 역부족이다. 마침내 만옥은 기존의 세입자를 내보내는 조건으로 집을 사겠다는 사람이 나타났을 때 오래 망설이지 않고 집을 팔기로 결심한다.

곧 재개발에 들어간다는 소문만 무성할 뿐 줄곧 계획과 어긋나며 애를 태우던 ‘목화맨션’이 두 사람에게 부여한 유일한 선물은 ‘어떤 관계’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이것을 우정이라고 불러도 좋을지 모르겠다. 그 관계를 무엇이라고 하든 서로의 사정을 속속들이 알아차리고 마음을 쓰게 되는 내밀한 소통은 두 사람의 몫이었던 듯하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우정은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가. 팍팍한 삶 앞에서 우정은 언제나 무너지기 쉽다. 집을 비워달라는 만옥에게 순미는 한마디 말도 없이 이럴 수 있느냐고 따져 묻고, 만옥은 자신의 처지를 변명하기 바쁘다.

소설의 마지막, 만옥은 남편을 살피러 들른 요양원 로비에서 ‘목화맨션’ 일대가 철거된다는 텔레비전 뉴스를 본다. 그러자 다 잊었다고 생각했던 어떤 시간들이 또렷하게 되살아난다. 아쉽다거나 억울하다거나 후회된다거나 하는 마음은 조금도 들지 않는다. 다만 그 순간 만옥은 확신할 뿐이다. “부서지고 무너지고 허물어지는 것이 다만 눈에 보이는 저 낡은 주택들만은 아닐 거라고 말이다.” 새집은 이런 ‘무너짐’을 알지 못하는 자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다. 아마도 그가 최후의 승자가 될 것이다.

선거가 끝나고 새 시장이 뽑혔다. 예상대로 ‘재건축’ 혹은 ‘재개발’이라는 단어가 연일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다. 어떤 날은 공약대로 규제 조항들을 시급히 완화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또 어떤 날은 조바심 내지 않고 천천히 사안을 들여다보기로 했다는 말도 들린다. 이미 더 오를 수 없을 정도로 올라버린 서울 집값은 그때마다 다시 요동친다. 순미와 만옥은 지금 어디 있을까. 두 사람도 이 소식을 들었을까. 그녀들의 안부를 묻고 싶다.

신수정 명지대 교수 문학평론가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