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째 봄..세월이 가도 기억해야 하는 이유

강나림 2021. 4. 16. 20: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시간이 흘렀어도 4월이 되면 이렇게 아픈 마음은 여전하지만, 7년이라는 시간은 어쩔 수 없이 참사의 흔적을 우리의 일상에서 조금씩 멀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꼭 기억하겠다고, 잊지않겠다고 약속하는 이유를 강나림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 리포트 ▶

공사가 한창인 광화문 광장 한복판.

높이 둘러쳐진 펜스 사이 좁은 길을 따라가면 세월호 기억 공간이 나옵니다.

[김명임/故곽수인 학생 어머니] "밖에서 저희가 마스크 나눔도 하고 하는데 안에까지 들어와보시는 분들이 굉장히 드물어요. 많이 서운하고 안타깝고 하지만…"

성남시청 앞 추모 조형물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곳곳이 녹슬었습니다.

조형물을 설치한 단체측은 안전 사고 우려 때문에 설치 6년 만인 내일 철거하기로 했습니다.

[류재순/조형물 제작 시민단체 '열린여성'] "철거되는 지점이 오니까 마음이 좀 착잡합니다. 저 자리가 비어지는 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아직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한테 너무 미안해서…"

아이들의 흔적을 그대로 남겨둔 단원고 2학년 교실도 학교를 떠나 새로운 곳에 자리 잡았습니다.

[양옥자/故허재강 학생 어머니] "얼마전에는 집에서 나오는데…날씨가 요즘 좋았잖아요. 벚꽃이 활짝 피어가지고 있는데 운전하고 나오는데 너무…애가 보고싶어, 보고 싶은 거예요."

이곳을 찾은 사람들은 세월호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를 잊고 있다가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김진숙/경기도 대안학교 교사] "아픔에 공감함으로써 우리 미래에 안전한 학교를 만들 수 있다, 안전한 사회가 될 수 있다…우리가 이 일을 가능한 오래오래 기억해서 되풀이되지 않는게 중요하다 이렇게 생각해요."

결코, 반복돼서는 안 되는 참사.

남은 사람들까지 슬픔에 짓눌리기를 바라는 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이런 고통을 또 겪지 않기 위해 세월호를 기억해달라는게 유가족들의 부탁입니다.

[전명선/故전찬호 학생 아버지] "앞으로 저희처럼 이렇게 아픔이 없는 그런 안전한 이런 사회. (우리는) 자식을 잃었지만 우리 부모들이 그런 역할을 조금이라도 한다면…"

MBC뉴스 강나림입니다.

(영상취재: 김태효, 허원철 / 영상편집: 양홍석)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강나림 기자 (allin@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151650_34936.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