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한마디에 주가 널뛰기..8월 백신이 뭐길래?

이한나 기자 2021. 4. 16. 18:3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오는 8월부터 국내 제약사 중 한 곳이 코로나 백신을 대규모로 위탁 생산한다고 밝히면서, 이 발언이 시장에 적잖은 파장을 낳았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정부가 섣부르게 발언한 꼴이 되면서, 혼란을 부채질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한나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부가 언급한 백신 위탁 생산,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기자] 

어제(15일) 백영하 범정부 백신 도입 TF 팀장은 "국내 제약사가 해외에서 승인된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 계약을 진행 중이고, 8월부터는 백신이 국내에서 대량 생산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함구했는데, 앞선 이 한마디의 파장이 컸습니다. 

당장 주식시장에서 녹십자, 에스티팜,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백신 관련 업체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여기에 휴온스글로벌이 스푸트니크V 백신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하면서  혼란은 가중됐는데요.

정부가 말한 계약이 러시아 백신을 뜻하느냐는 질문이 방역당국으로 몰리자, 급기야 정부가 나서서 "러시아의 스푸트니크V 백신은 아니다"라고 해명까지 낼 정도였습니다. 

[앵커] 

한 마디로 아직 확정이 안 됐다는 건데, 방역당국이 섣부르게 언급한 이유가 뭡니까? 

[기자] 

방역당국은 백신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정부의 노력을 좀 알리고 국민들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최근 미국 등 일부 국가들이 백신을 싹쓸이하면서 국내 접종 계획이 틀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자, 정부가 이례적으로 추진 중인 백신 계약을 공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의 어려움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당국이 나서서 혼란을 부채질한 것 아니냐라는 비난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코로나 확산 상황도 보죠.

확산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데, 거리두기 단계가 올라갈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봐야 할까요? 

[기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음 주 상황을 지켜본 뒤 격상 여부를 결정키로 했습니다. 

어제 하루 신규 확진자는 673명으로 이틀 연속 600명대를 넘어섰습니다. 

이미 지표상으로 수도권 기준 거리두기 2.5단계로 격상해도 무방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시각은 좀 다른데요. 

현재 확진자 추세가 급증하는 상황은 아니고, 확진자 수에 얽매이지 않고 대응 여력을 고려해 검토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번 주는 현재 거리두기를 유지하고, 다음 주엔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앵커]

뾰족한 수가 없어 보여서 더 걱정이군요.

이한나 기자, 잘 들었습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