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생산 백신 대체 뭐냐" 정부발 제약주 요동..업계는 "코미디"
정부가 해외 제약사 코로나19(COVID-19) 백신의 국내 대량 위탁생산 계획을 밝힌 직후 국내 한 제약사가 러시아 백신의 대량 위탁생산 계약 체결 소식을 알렸다. '러시아 백신 위탁생산과 허가'를 정부가 '백신 보릿고개'의 돌파구로 삼는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며 해당 제약사 주가가 폭등했지만 정부는 일단 부인했다.
정부가 대량 생산하겠다고 공언한 백신으론 미국에서 개발된 모더나 백신과 또 다른 러시아 개발 백신인 코비박 백신 정도로 압축되고 있다.
휴온스글로벌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휴메딕스, 보란파마가 참여한 컨소시엄을 만들었고 컨소시엄이 이번 RDIF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컨소시엄은 백신 생산에 대한 기술 이전을 받아 오는 8월 시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후 컨소시엄을 통해 RDIF가 요청한 물량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휴온스글로벌은 각 사의 역량을 동원해 월 1억 도즈(1도즈는 1회 접종분)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계약체결 사실은 정부가 해외 제약사 백신 위탁생산 사실을 알린 지 하루만에 나왔다. 전일 백영하 범정부 백신도입TF 백신도입총괄팀장은 온라인 백브리핑을 통해 "국내 A 제약사가 해외에서 승인된 백신을 생산하는 것과 관련해 구체적 계약 체결이 현재 진행되는 거로 안다"며 "8월부턴 승인된 백신이 국내에서 대량으로 생산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일 이 같은 정부 언급이 백신업계는 물론 국가 방역 전반에 파문을 던진 까닭은 한국이 현재 '백신 보릿고개'를 지나고 있어서다.
국내 백신도입 물량의 큰 축인 아스트라제네카(AZ)는 물론 곧 들여올 얀센 백신에서도 혈전 부작용이 나타나며 추후 수급 일정에 빨간불이 들어온데다 단일 백신 도입물량 중 가장 많은 모더나 백신(2000만명 분)의 구체적 도입 일정도 여전히 오리무중인 상태. 이 같은 상황에서 해외 백신의 대규모 위탁생산체제를 가동하는 한편, 해당 백신의 국가 허가까지 승인할 경우 국내 생산물량을 통한 수급 숨통이 트일 수 있다.
전일 정부는 해당 위탁생산 백신의 추후 국가승인 절차 개시 여부는 물론, 이 백신이 어떤 백신인지 조차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정부 언급 직후 나온 러시아 백신 계약을 단순히 '오비이락'으로 볼 수 없는 정황이 많다는 것이 백신업계 중론이었다.
우선 정부가 해당 백신의 국내 대량생산 시점으로 명시한 8월이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의 '8월 시생산' 시점과 맞아떨어진다. 휴온스글로벌측에서 이미 스푸트니크 V 백신의 국내 공급을 논의중이라는 말도 전해졌다. 이 백신이 국내에 공급되려면 정부의 허가가 전제돼야 하는데 이는 '러시아 백신 위탁생산과 허가'를 통한 백신 수급 숨통틔우기라는 앞선 업계 해석과도 일맥상통한다.
전일 정부 발표에 뒤이어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의 계약사실이 알려지고 이 같은 해석이 따라붙자 이날 휴온스글로벌의 주가는 급등했다. 휴온스글로벌의 주가는 이날 오후 1시 50분 현재 29.8% 급등했다. 전일 정부 발표 직후에도 제약사 주가가 요동쳤다.
하지만 이날 주식시장 이상반응이 빚어진 가운데 정부는 또다시 "어제 발표한 내용은 러시아 스푸트니크V 백신과 관계된 건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백신 업계 관계자는 "코미디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방역 상황과 맞물려 가장 신중을 기해야 할 백신 관련 계약과 공급 상황에 정부 스스로 확정되지 않은 정보를 공개했다는 것. 이날까지 상황을 종합하면 아직 무르익지 않은 모종의 백신 위탁생산 계약 진행상황을 정부가 공개했고, 특정 제약사가 거론되자 이를 부인한 셈이다.
정부가 언급한 모종의 계약이 정부가 관여된 3자간 계약이 아니라 백신 개발사와 업체간 2자 진행 중인 계약일 경우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엇보다 이 같은 계약이 진행중이라 해도 추후 백신 시생산 과정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동등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없던 일'이 될수 있는 사안이라는 것이 업계 반응이다.
우선 미국에서 개발된 모더나 백신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미 2000만명 분 도입이 예정된 데다 해당 물량의 유통사도 국내 핵심 백신 생산사인 GC녹십자가 맡게된 상태여서다. 게다가 이 백신은 예방효과와 안전성이 AZ와 얀센 백신보다 높은 'mRNA(메신저 RNA)' 계열 백신이다. 자체생산 성사 시 우리가 얻을 이익이 크다.
하지만 정작 위탁생산 성사가 가장 어렵다는 지적도 한 차례 나온 백신이다. 위탁생산을 위한 선결과제인 모더나로부터의 기술이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끝'으로 통하는 모더나의 mRNA백신은 미국에서도 핵심 미래산업기술로 분류된다. 게다가 이 같은 기술이전을 소화할 만한 국내 백신업계 기술력도 아직 숙성되지 않았다는 업계 내 목소리도 있다.
또 다른 러시아 개발 백신인 코비박 백신도 있다. 이 백신의 국내 생산 점검을 위해 지난 달 러시아 관계자들이 GC녹십자 생산시설을 방문했다는 말도 나왔었다. 하지만, 스푸트니크 V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개발 백신이라는 점이 걸림돌이라는 해석도 있다. 현재 러시아 백신은 남미와, 아프리카, 중동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미국과 유럽 등 서방 중심의 국가에서 허가받지 못했다. 전통적 외교 지형도에 따라 백신 경계선이 그어져 있어 한국이 이를 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무엇보다 러시아 백신에 대한 국내 불신도 넘어야 한다. 최재욱 고려대학교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스푸트니크V 관련, 국제 학술잡지의 연구결과가 있는 것과 실제 이 백신 사용을 위한 국내 행정 절차가 통과되는 것은 다른 문제"라며 "미국 FDA(식품의약국)이나 EMA(유럽의약품청) 허가를 받으려면 임상 환자 관련 데이터가 모두 투명하게 공개되고 제공돼야 하는데 러시아 스푸트니크V는 관련 데이터가 전혀 공개돼 있지 않으며 일방적으로 결과가 발표됐다"고 지적했다. 이는 위탁생산과 국내 허가가 된다 해도 접종률 저하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정부가 못 박은 8월 생산시점까지 여전히 모든 것이 불투명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8월 백신 위탁생산 언급 관련, "국민들의 불안감을 줄여드리기 위해서 그와 같은 안내를 한 것"이라고 이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브래드 피트, 휠체어 탄 채 수척한 모습…병원서 포착 '깜짝' - 머니투데이
- BJ 신태일, 도박·코인에 13억 탕진…"X지러 간다" 극단선택 예고 - 머니투데이
- 온라인에 퍼진 'UFO 영상' 진짜였다…美국방부 "해군이 촬영" - 머니투데이
- 서예지, 각종 의혹에 광고 손절…"위약금 최대 30억 토해낼 판" - 머니투데이
- 점원 뺨 때린 벨기에대사 부인…'엄정대처'한다지만, 현실은? - 머니투데이
- 양현석, 2억대 명품시계 밀반입 혐의 부인…"국내서 받았다" - 머니투데이
- '토막 살인' 양광준의 두 얼굴…"순하고 착했는데" 육사 후배가 쓴 글 - 머니투데이
- '돌돌싱' 61세 황신혜 "더 이상 결혼 안 할 것…연애엔 열려있어"
- 구로 디큐브시티, 현대백화점 나가고 '스타필드 빌리지' 온다 - 머니투데이
- "4만전자 너무 했지, 지금이 줍줍 기회"…삼성전자 8% 불기둥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