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유아용품 테마, 제로투세븐 +22.10%, 아가방컴퍼니 +11.56%

C-Biz봇 2021. 4. 16. 11: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2020년 국내 합계 출산율은 0.84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신생아 1명당 유아용품 구매 비용은 증가하는 추세.

통계청에 따르면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2009년 1.2조원, 2015년 2.4조원, 2020년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

유튜브의 빠른 확장으로 유아용품 및 캐릭터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점도 긍정적.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유아용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3.43% 상승세이다. 제로투세븐(159580)+22.10%, 아가방컴퍼니(013990)+11.56%, 매일유업(267980)+2.54%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3줄 요약▷ 출산율 저하에도 자녀 지원 쏠림 현상에 유아용품 시장은 성장▷ 일본 무역 갈등·출산 장려정책 이슈에 관련주로 주목▷ 정부, 저출산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80조원 투입

2020년 국내 합계 출산율은 0.84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신생아 1명당 유아용품 구매 비용은 증가하는 추세. 통계청에 따르면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2009년 1.2조원, 2015년 2.4조원, 2020년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

이는 가정마다 자녀의 숫자가 적어 오히려 자녀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다는 의미. 한 아이를 위해 부모는 물론이고 양가 조부모, 삼촌, 고모(이모) 등 8명의 주머니가 열린다는 뜻의 신조어 8-POCKET 등의 신조어까지 등장. 유튜브의 빠른 확장으로 유아용품 및 캐릭터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점도 긍정적.

유아용품 관련 업체들은 일본 무역갈등 이슈에 주목받는 경향을 보임. 일본 유아제품 불매운동으로 인한 반사이익 기대감으로 풀이.

또한 각국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도 유아용품 관련 업체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정부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문제 대응을 위해 2020년보다 10조원 가량 증가한 80조원의 예산을 투자한다고 밝힘(2021.03.30).

한편, 중국은 지난 2016년 '1가구 1자녀' 정책을 폐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낮아지자 최근 산아제한 수정 및 철폐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 중국에서도 소비자들이 유아용품을 고를 때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가격보다도 품질과 안정성이며 한국 제품이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조사(코트라).

중국은 14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계획 초안에서 출산정책의 표용성 강화, 출산정책과 경제사회 정책 연계 추진, 가정 돌봄 등의 정책 제시(2020.11.05). 리커창 중국 총리는 13기 전인대에서 인구 고령화 국가 전략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언급(2021.03.05). 일각에선 이르면 2021년 10월에 열리는 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 회의에서 가족계획법이 폐지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함.

(마지막 업데이트 2021.04.01)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제로투세븐(159580) +22.10% 유아동복 및 용품 등의 판매 및 유통업체. 유아동의류 브랜드인 알로앤루, 포래즈, 알퐁소, 유아스킨케어 전문 브랜드인 궁중비책 등의 브랜드 보유. 인터넷 쇼핑몰인 제로투세븐닷컴에서 유아동 의류 및 용품 등을 판매.
아가방컴퍼니(013990) +11.56% 유아의류 및 유아용품 제조사. 아가방(AGABANG), 디어베이비(DEARBABY), 에뜨와(ETTOI) 등의 브랜드 보유.
매일유업(267980) +2.54% 낙농품 및 음료 제조판매수출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조제분유, 이유식, 시유, 가공유, 발효유, 치즈, 유지류 등 유제품 등을 생산, 유통.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를 위한 특수분유 개발.
토박스코리아(215480) +1.11% 유/아동 신발 도소매업체. 힐리스, 미니멜리사, 씨엔타, 버켄스탁, 이뮤 등 전세계 최신트렌드 Kids 브랜드 슈즈 등을 국내에 유통. 중국 현지에 자회사를 설립해 중국내에서도 유아동 프리미엄 신발 사업 영위.
깨끗한나라(004540) +1.08% 제지사업과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생활용품 사업부에서 "보솜이" 등 기저귀류 제조, 판매.
예림당(036000) +0.65% 아동도서 출판 전문업체. 대표적인 히트상품은 Why시리즈로 중국, 이란, 브라질, 말레이시아 터키, 스페인 등으로 수출.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 +0.32% 중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샴푸, 바디워시, 바디로션 등의 피부케어, 클린징 제품 등과 모기퇴치약, 파우더 등과 같은 여름용 화장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영유아용 화장품 전문 업체.
헝셩그룹(900270) 0.00% 국내 상장한 중국 기업으로 유아동 완구 및 의류 등 전문 제작. 완구제품 및 완구부속품 제조업체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 지분 100% 보유.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는 아동의류 판매업체 췐저우Jazzit어페럴유한회사지분 100% 보유(2020.09.30 기준).
네오팜(092730) -1.11% 화장품 개발·제조·판매 사업을 영위중인 아토피보습제 전문업체. 아토팜(아토피, 건성 및 민감성 피부관리제품), 제로이드 등의 브랜드 보유. 2018년 하반기 중국 유통회사를 통해 아토팜을 중국 온라인몰인 징동닷컴과 타오바오에서 판매.
남양유업(003920) -3.94% 우유와 분유, 시유, 발효유, 치즈 등 유가공제품 및 커피믹스, 음료제품 등 제조사. 맛있는우유GT, 아인슈타인 GT 등 우유류, XO World Class 등의 분유류 생산.

유아용품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36.39%
1개월 등락률 +33.34%
1주 등락률 +8.16%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