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I 데이터 나우] 백신 접종 Start..! '예방접종도우미'를 아시나요?

2021. 4. 16. 09: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스크만 벗고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작은 소망이 이렇게 간절해지리라 상상하지 못했다. 그리운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전 국민 백신 접종 프로젝트가 첫발을 디뎠다. 지난 2월 26일에 시작된 국내 첫 접종은 코로나19 환자들과 밀접 접촉을 피할 수 없는 의료 관계자 및 요양 시설 종사자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일반 국민들도 순차적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백신 접종과 관련된 많은 궁금증이 생기고 있는 가운데, 질병 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와 스마트폰 앱이 국민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예방접종 도우미"는 코로나 백신 접종뿐만 아니라 각종 예방접종 관련된 정보 알림이가 되어주고 있으며 백신 접종 완료자는 국·영문으로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는 '백신 접종' 관련 SNS 키워드 감성 분석과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앱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백신 접종에 대한 관심 현황을 살펴봤다.


Trend 1. 빅데이터로 바라본 '백신 접종'

SNS 키워드 분석
백신 접종과 관련된 키워드를 알아보고자 유튜브 외 4곳(인스타그램, 트위터, 뉴스, 블로그) SNS 키워드 감성 분석을 실시했다. 지난 11일간(21.03.15~25) '백신 접종' 연관 키워드 TOP. 30 분석한 결과, 긍정 1위는 '백신(6만5,009건)'으로 나타났으며 2위 '현황(4만2,366건), 3위 '마스크(4만2,332건)'로 분석됐다. 중립 1위는 '서울(1만9,348건)'로 나타났으며 '공무원(1만4,003건)'과 '노인(1만3,092)'이 2, 3위로 분석됐다. '코로나(10만6,344건)'는 가장 언급이 많았던 '백신 접종' 연관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부정 1위에도 올랐다. 이어 부정 2위는 '확진자(4만2,340건)', 3위 '바이러스(3만4,509건)'로 분석됐다. 이외에도 거리두기, 불안, 피로감 등 부정적인 단어들이 눈에 띄었다.
설치자 분석
다음으로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앱 데이터를 설치자 수를 분석하고 연령과 성별 증감률도 함께 최근 3개월간(21.01~03) 분석하여 살펴봤다. 설치자 수는 1월 88만3,000명을 시작으로 2월 91만7,000명으로 증가했다. 3월에는 94만8,000명으로 설치자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자 연령 증가율 TOP. 3은 50대 이상이 14.4% 증가로 1위에 올랐으며 이어 40대 9.5% 증가, 30대 6.7% 증가로 각 2, 3위로 나타났다. 성별 증감률은 남성 설치자가 13.7% 증가, 여성 설치자 4.7% 증가로 남성 설치자 증가율이 약 2배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신규설치자 분석
추가로, 백신 접종 기간 동안 '예방접종도우미' 앱 신규 설치자 수에도 영향이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백신 접종 첫 시작(2월 26일)부터 주간별로 분석했다. 백신 접종 시작 전주(21.02.19~02.25) 대비로 신규설치자 분석한 결과, 백신 접종 시작 1주 차(21.02.26~03.04)에는 58.2% 증가했으며 백신 접종 시작 2주 차(21.03.05~03.11)에도 3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치며

2분기 백신 접종을 앞두고 예방접종도우미 앱을 통해서 백신 접종 일정 및 접종 증명서 발급 등 유익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백신 접종 대상자를 위해 네이버나 카카오톡과 같은 익숙한 채널을 통해 접종 관련 정보를 빠르게 안내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백신 예방접종 관련 놓치기 쉬운 정보를 빠짐없이 체크하여 하루빨리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고 어려운 시기를 잘 이겨내길 바라본다.

[TDI는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TDI DS팀 서예리 매니저]

※ 해당 칼럼은 미라클어헤드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