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선 개입·해킹' 러시아 제재..외교관 10명 추방 [장가희 기자의 뉴스픽]

장가희 기자 2021. 4. 16. 06:3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기자가 콕 짚어 전하는 뉴스, 뉴스픽입니다. 

미국 정부가 러시아의 기업과 기관 수십 곳과 개인에 대해 무더기 제재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미국 대선 개입과 해킹 등을 이유로 꼽았는데요.  

백악관은 이번 조치가 러시아의 악의적인 국외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장가희 기자, 제재 내용부터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조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러시아 32개 기관과 개인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러시아 정보국 요원을 포함한 10명의 워싱턴 DC 주재 러시아 외교관은 추방합니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러시아가 발행하는 신규 채권을 미국 금융기관이 매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도 포함됐는데요. 

6월14일부터 발효됩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집권 초기 미국과 동맹국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에 대응하겠다고 공언해 왔습니다. 

[앵커]

강력한 조치들인데, 배경은 뭔가요?

[기자]

미국 정부는 지난해 러시아가 미국 대통령 선거에 개입했고, 연방기관을 해킹했다며 이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는 입장인데요.  

러시아는 지난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 당시 바이든 후보에 대한 가짜뉴스를 대규모로 유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달 기밀 해제된 미국 국가정보국 보고서에는 푸틴 대통령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 담겼고요.

또 지난해 12월 미 국무부를 포함한 9개 미 공공기관과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 기업 100여 곳이 해킹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미 정보 당국은 이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러시아 정부 기관 소속 해커들을 지목했습니다.

[앵커]

미국의 조치에 러시아는 반발하고 나섰죠?

[기자]

네,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공격적인 행동은 당연히 단호한 반격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은 양자 관계 약화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며,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미국에 있다고 비난했고요.

모스크바 주재 미국대사와 심각한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제재 발표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3일,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에서 회담을 제안한 지 이틀 만에 나온 건데요. 

그동안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야권 인사 나발니 사건과 관련해 푸틴 대통령에게 각을 세웠던 터라 양국관계는 더 경색될 것으로 보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