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ckdown generation (KOR)

2021. 4. 15. 19: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Young people especially feel uncertain and depressed about the future.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calls young people suffering from the impact of Covid-19 a "lockdown generation." They struggle from poverty due to reduced educational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hey may be called the "knockdown generation," not the "lockdown generation."

국제노동기구(ILO)는 코로나19로 고통받는 현재 청년들을 '록다운 세대'라고 표현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re are some expressions that we became familiar with because of the Covid-19 outbreak, such as pandemic, self-quarantine, contactless and social distancing. The Collins Dictionary chose "lockdown" as the Word of the Year in..

JANG JOO-YOUNG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There are some expressions that we became familiar with because of the Covid-19 outbreak, such as pandemic, self-quarantine, contactless and social distancing. The Collins Dictionary chose “lockdown” as the Word of the Year in 2020. It was not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in the past, but now, everyone around the world knows what lockdown means.

According to the dictionary, the word originates from prison terms, “the confining of prisoners to their cells, as following a riot or other disturbance.” The U.S. military uses “lockdown” to describe restrictions on vacation or outings for soldiers for extraordinary situations such as a war or exercise. In some sports, “lockdown defense” means keeping the other player closely in check.

Countless countries experienced lockdowns during Covid-19. Wuhan in Hubei Province, China, where Covid-19 supposedly started, was completely isolated from late January to early April last year in a strict lockdown. Cities with surging case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ustralia had lockdowns. Fortunately, Korea hasn’t had to resort to a lockdown yet.

Though Koreans haven’t experienced lockdown, it is not easy to get through the age of coronavirus. People complain about inconvenience.

Young people especially feel uncertain and depressed about the future.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calls young people suffering from the impact of Covid-19 a “lockdown generation.” They struggle from poverty due to reduced educational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hey may be called the “knockdown generation,” not the “lockdown generation.”

The tunnel of coronavirus is long. Even when we reach the end of the tunnel, it is unlikely the younger generations will be able to see the light. The government and industries need to work together to resolve the issue.

At a cabinet meeting on April 13, President Moon Jae-in asked for special measures because “If we don’t resolve the hardship of the young people, they could become the ‘lockdown generation.’” I hope it’s not political rhetoric to appease the anger expressed by twentysomething voters in the April 7 mayoral by-elections. There’s no future for a country where young people are in despair.

록다운 세대 장주영 내셔널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갑자기 익숙해진 표현들이 제법 된다. 팬데믹(대유행)이나 자가격리, 비대면,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말들이다. 사전으로 유명한 영국 출판사 콜린스가 올해의 단어(2020년)로 꼽은 ‘록다운(lockdown)’도 마찬가지다. '도시봉쇄'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이 단어는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말이었지만, 이젠 세계인이 아는 단어가 됐다.

콜린스의 설명에 따르면 이 단어는 본래 감옥 용어에서 비롯됐다. “재소자가 소란을 피울 때 감방에 가둬 제재할 때 쓰는 말”이라는 것이다. 미군은 전쟁이나 훈련 같은 특별한 이유로 병사들의 휴가나 외출을 통제하는 것을 가리켜 '록다운'이란 표현을 쓴다. 일부 구기 종목에선 상대 선수를 밀착 수비해 꽁꽁 봉쇄하는 방식을 '록다운 디펜스'라고도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록다운을 경험한 나라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코로나 진원지로 알려진 중국의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는 지난해 1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록다운 조치가 취해져 완전히 고립됐다. 이후 미국과 유럽 국가, 호주 등 전 세계 곳곳에서 감염자가 폭증하는 도시에 봉쇄령이 내려졌다. 다행히 한국은 아직까지 이런 조치는 없었다.

록다운을 경험하지 않았다 해도 코로나 시대를 견뎌내기란 버거운 일이다. 달라진 일상에 사람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불편함과 고통을 느낀다. 특히 청년층이 느끼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절망이 크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코로나19로 고통받는 현재 청년들을 ‘록다운 세대’라고 표현했다. 교육과 취업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빈곤에 시달리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록다운이 아니라 녹다운 세대라 불러야 될 판이다.

코로나 터널은 길기만 하다. 더구나 그 터널 끝에 이른다 해도, 청년 세대에 별안간 희망의 빛이 번쩍하고 나타날 것 같지도 않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이 문제에 대비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국무회의에서 “청년들의 어려움을 해소해주지 못하면 ‘록다운 세대’가 될 수도 있다”며 특단 대책을 지시했다. 보궐선거에서 드러난 20대 성난 표심을 달래기 위한 정치적 수사(修辭)가 아니길 빈다. 청년이 절망하는 나라에 미래는 없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