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에서 열 잘 감지하는 열영상 센서 소자 나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냉각장치 없이 100도 고온에서도 물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영상센서가 개발됐다.
최 책임연구원은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한 소자기술로 열영상센서의 제작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원천기술을 확보했을 뿐 아니라 기존 소자보다 민감도와 동작 속도가 우수하다"며 "열영상을 이용하는 군수용 산업과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센서로 활용이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냉각장치 없이 100도 고온에서도 물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영상센서가 개발됐다. 발열이 심한 스마트폰 내부에도 장착할 수 있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을 휴대용 온도계로 이용할 수 있단 기대다.
최원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백승협 전자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팀, 백정민 성균관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고온에서도 잘 작동하는 열영상센서 소자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스마트폰이나 자율주행차의 부품으로 쓰이려면 일정 온도 이상을 견뎌야 한다. 내부 발열을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내 부품은 전자제품 기준인 85도, 자율주행차는 전장제품 기준인 125도 고온을 견디도록 제한돼 있다. 반면 열영상센서는 이러한 온도를 견디기 어려워 별도의 냉각소자가 필요했다. 냉각소자는 센서 원가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전력소모도 커 열영상소자의 적용을 막는 장애물로 여겨져 왔다.
연구팀은 100도 이상에서도 잘 견디는 이산화바나듐 박막을 이용해 소자를 제작했다. 이산화바나듐은 고온에서도 안정된 반도체 특성을 보여준다. 새로 개발된 소자는 100도에서도 상온과 비슷한 수준으로 적외선 신호를 얻었다. 한 달 이상 100도에 노출되도 성능이 변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여기에 외부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추가해 물체의 열을 3배 더 잘 감지하도록 했다. 또 기존 소자들이 초당 30~40회 측정이 가능했던것과 달리 초당 100회 측정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125도 이상 견디는지 여부도 분석해 빠른 반응이 필요한 자율주행차의 센서로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최 책임연구원은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한 소자기술로 열영상센서의 제작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원천기술을 확보했을 뿐 아니라 기존 소자보다 민감도와 동작 속도가 우수하다”며 “열영상을 이용하는 군수용 산업과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센서로 활용이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응용 표면 과학’에 다음 달 1일 발표를 앞두고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