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달리 中·日선 공모펀드 잘 팔린다는데..

이슬기 2021. 4. 15. 17: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직접투자 붐이 거센 한국 시장에서 주식형 공모펀드가 고사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 시장에선 여전히 공모펀드가 인기다.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국내 주식형 공모펀드 설정액은 49조4970억원을 기록 중이다.

일본에서는 주식시장 제도 때문에 공모펀드로 자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공격베팅하는 펀드에 뭉칫돈
日, 소액 직접투자 힘들어 펀드行

직접투자 붐이 거센 한국 시장에서 주식형 공모펀드가 고사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 시장에선 여전히 공모펀드가 인기다. 다만 두 나라에서 공모펀드가 인기인 이유는 사뭇 다르다.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국내 주식형 공모펀드 설정액은 49조4970억원을 기록 중이다. 5년 전(2016년 4월 말·52조4632억원)과 비교하면 되레 규모가 줄었다. 지난해 코로나로 인한 활황장이 펼쳐졌음에도 불구하고 공모펀드 설정액은 48조원(2020년 3월 말) 수준에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한 해 개인이 직접 주식을 사들인 금액만 43조2360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공모펀드 소외 현상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분위기는 다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에서 새로 출시된 주식형 및 자산배분(주식·채권 고루 투자)형 펀드에 몰린 금액만 4148억위안(약 71조원)에 달했다. 주식형 펀드의 인기에 펀드매니저까지 스타가 됐다. 2000년대 중반 국내와 비슷한 상황이다. 이팡다(易方達·efunds)의 장쿤 펀드매니저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1000억위안(약 17조원)의 돈을 굴리는 펀드매니저에 등극했다. SNS에선 그를 따르는 팬도 많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 공모펀드는 돈을 맡긴 사람들이 코스피지수 등 벤치마크 대비 얼마나 수익이 났는지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운용이 자유롭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중국은 벤치마크를 고려하지 않고 공격적으로 운용하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이런 특징 덕에 블루칩 몇 개 종목에 집중 투자해 큰 성과를 올린 펀드가 등장하며 붐을 일으켰다는 얘기다.

일본에서는 주식시장 제도 때문에 공모펀드로 자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선 100주 단위로만 주식을 거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클로(패스트리테일링) 주식을 사고 싶다면 현재 1주 가격이 90만원 정도이기 때문에 총 9000만원이 필요하다. 주식투자는 하고 싶고, 자금 여유는 많지 않은 사람들이 펀드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앱 다운받고 ‘암호화폐’ 받아가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