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하→공서영 '웅앵웅, 오조오억, 힘죠' 대체 이 단어들이 뭐길래 '논란' [이슈와치]

강소현 2021. 4. 15. 17: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웅앵웅', '오조오억', '힘죠' 까지 대체 이 단어들이 뭐길래, 둘러싼 의견들이 분분하다.

특정 성별을 겨냥한 혐오 표현이 아닌 '오조오억년'은 아이돌 팬부터 다수의 이용자들이 사용해온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여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사용됐다는 것에 일부 네티즌들은 이 또한 '남혐 표현'이라 지적하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어원이 불분명한 단어를 두고 남혐 논란 사태가 불거지는 요즘, 네티즌들의 의견도 제각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엔 강소현 기자]

'웅앵웅', '오조오억', '힘죠' 까지 대체 이 단어들이 뭐길래, 둘러싼 의견들이 분분하다.

4월 14일 방송인 공서영은 자신의 SNS에 새로운 맛 아이스크림 출시 내용이 담긴 기사와 함께 "우리동네 베라 힘죠"라는 문구를 적었다. 그러나 아이스크림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담긴 문장은 이후 때아닌 남혐(남성 혐오) 논란에 휩싸였다. 바로 공서영이 사용한 '힘죠'라는 단어때문이었다.

'힘죠'는 일반적으로 힘을 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남성 혐오적이라 비판받고 있는 메갈리아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특정 언어라고 지적했다.

주의하겠다며 한차례 글을 수정했음에도 SNS를 뒤덮은 거센 비판에 공서영은 결국 “저는 메갈과 아무런 관련이 없고 사실 잘 알지도 못하며 그 사이트를 방문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힘내다'와 '힘주다'의 의미를 설명한 뒤 "제가 이렇게 알고 골라 쓴 표현이 이미 다른 의미로 많은 분들께 받아들여지고 있는 줄 전혀 몰랐다. 하지만 이 표현이 누군가를 혐오하는 데 쓰이고 있고, 그걸 본 많은 분들이 불편을 느끼셨다면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앞서 하하 역시 개인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에 '오조오억년 만에 온 실버버튼'이란 자막을 삽입했다 남혐 표현을 사용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결국 하하는 영상 게재 하루 만에 해당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오조오억년'이란 단어는 많고 오래됐다는 의미로 커뮤니티에서 하나의 밈화 되어 사용된 단어다.

특정 성별을 겨냥한 혐오 표현이 아닌 '오조오억년'은 아이돌 팬부터 다수의 이용자들이 사용해온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여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사용됐다는 것에 일부 네티즌들은 이 또한 '남혐 표현'이라 지적하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헬스 유튜버 핏블리도 개인 유튜브 채널 영상에 한 참가자의 발언에 '웅앵웅'이란 자막을 사용해 남혐 논란에 휩싸였다.'웅앵웅'은 웅얼웅얼 하는 모습을 뜻할때 사용하는 말이다. 하과거 트와이스 멤버 지효도 '웅앵웅' 표현을 사용했다 한차례 사과한 바 있다.

어원이 불분명한 단어를 두고 남혐 논란 사태가 불거지는 요즘, 네티즌들의 의견도 제각각이다. 남성 혐오라 주장하는 이와 지나친 억측이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논란은 쉬이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특정 성별을 겨냥한 혐오 표현은 지양해야 하는 것이 분명하다. 다만 커뮤니티 단어 특성상 어원이 불분명한 상황 을 감안해 사용자에게 무조건적인 특정 프레임을 씌우며 비난을 가하는 일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사진=공서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하하PD' 캡처)

뉴스엔 강소현 ehowl@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