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오염수 유입 시기 불분명"..韓 수산물 안전할까?

박성환 2021. 4. 15. 16: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 정부 해양 방류 오염수 '기준치 이하' 신뢰 못해
"인체 영향 확인 위해 '방출량·농도' 정보 공개해야"
獨 연구소 논문서는 4~5년 뒤 우리나라 동해 도착
해수부 "수산물 안전 확보 위해 모든 조치 취할 것"
[오쿠마=AP/뉴시스] 일본 동북부 후쿠시마현 소재 후쿠시마 다이이치(제일) 원자력 발전소 전경. 2021. 2. 22.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수산물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바다로 방류된 오염수가 해류를 따라 제주도뿐만 아니라 국내 연안으로 유입되면 해양생태계는 물론, 국민 건강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 외에 오염수에 포함된 세슘이나 스트론튬 등 60여 가지가 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일본 정부의 행태도 한몫하고 있다.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전 세계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수산물 소비가 많은 국내에서 오염수의 해양 방류 결정에 따른 삼중수소(트리튬) 등 방사능 유해물질에 대한 불안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오염수에 노출된 수산물을 섭취할 경우 인체 내 방사성 물질이 쌓여 피폭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탓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13일 각료회의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방류하기로 공식 결정했다. 도쿄전력은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승인 등을 거쳐 오는 2023년부터 약 30년에 걸쳐 오염수를 방류할 계획이다. 일본이 폐로 작업 완료 시점으로 예상하고 있는 2041∼2051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오염수가 방출된다.

현재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하루 약 140t씩 발생하는 오염수를 탱크에 저장하고 있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기준 후쿠시마 제1원전의 탱크에는 오염수 125만844t이 저장돼 있다.

저장 탱크가 조만간 포화돼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희석한 뒤 바다에 방류할 수밖에 없다는 게 도코전력의 설명이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오염 농도를 법정 기준치의 40분의 1 수준으로 낮춰 방류하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외에도 세슘 134·세슘 137, 스트론튬 90등의 방사성 핵종 물질이 포함돼있다. 이 중 삼중수소는 인체 내에서 피폭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방사성 물질이다. 삼중수소는 완전 제거가 불가능하고, 체내에 계속 유입되면 DNA 손상, 생식기능 저해 등이 발생한다.

향후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하면 해류를 타고 국내 연안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측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로시오해류를 따라 태평양으로 이동했다가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를 돌고, 제주도와 한반도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2년 독일 헬름홀츠해양연구소가 국제학술지 환경연구레터스에 발표한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태평양으로 방류된 세슘 137의 장기 확산 모델 시뮬레이션' 논문에 따르면, 원전에서 방류된 세슘 137은 러시아, 북미 연안, 적도, 아시아를 거쳐 북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 약 4~5년 만에 우리나라 동해에 도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 1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해 처리하기로 공식 결정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닷물로 100배 이상 희석해, 2년 후부터 해양에 방출한다는 계획이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해양 방류로 오염수에 노출된 수산물을 섭취할 경우 신체 내 방사성 물질이 쌓여 내부 피폭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오염수가 국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객관적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방출량과 농도 등 관련 정보가 필요한 데, 일본 정부가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점이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설명에 의심의 눈초리를 지울 수 없는 이유다. 일본 정부의 계획대로 방류 전 방사성 물질을 걸러 내거나 법적 기준치 이하로 희석했더라도 방류량이 워낙 많아 해양생태계와 인체에 미칠 안전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를 희석시키는 것은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낮추려는 것이지, 강도를 낮추려는 게 아니다"며 "삼중수소 반감기가 12년으로, 이 반감기를 여러 번 거치며 강도를 낮춰야 한다. 적어도 50~120년 정도 장기간 보관했다가 내보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영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박사)은 "실제 오염수가 해양으로 방류될 경우 지구를 순환하는 해류를 따라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방사성 물질의 반감기를 고려하면 상당 시간이 필요한데, 그 사이 오염된 어류를 인간이 섭취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 발표에 대응하기 위해 해양환경 보호와 수산물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

해수부는 우선 동·남해 및 제주 등 주요 해역 13개 정점에서 방사성 유출 조사를 연간 4회에서 6회로 늘리기로 했다. 또 후쿠시마현 등 6개현의 국내외 선박의 기항을 최대한 자제하고, 우리나라 영해수역 밖에서 '선박평형수'를 교환한 뒤 입항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국 연안 해역에 대한 방사성 물질 감시망을 통해 삼중수소, 세슘 등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을 면밀히 감시한다. 지난해 이미 항만 조사정점 7곳을 추가해 전체 정점을 총 39곳으로 확대했다.

향후 실제 해양 방출이 이뤄지면 후쿠시마현 등 6개현(후쿠시마현·미야기현·아오모리현·이와테현·이바라기현·치바현), 17개 항만에 국내외 선박의 기항을 최대한 자제하고, 부득이한 경우 우리나라 영해수역 바깥에서 선박평형수를 교환한 후 입항하도록 하는 세부방안을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일본 정부 등으로부터 해양 방출에 관한 세부적인 정보를 입수하는 즉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통해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 여부 등 오염수가 우리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최단시간 내 과학적으로 분석해 공개할 방침이다.

박준영 해수부 차관은 "일본의 최인접국인 우리나라와 충분한 협의 및 양해 과정 없이 이뤄진 일방적인 조치로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며 "우리 국민의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어떠한 조치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고,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여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