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극우정치인 "文대통령의 국제해양재판소 제소 지시는 허세"

박수현 기자 2021. 4. 15. 14: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과 관련해 청와대 내부 회의를 열고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제소 검토를 지시한 가운데, 일본 자민당 측 인사가 "허세를 부린다"는 막말을 해 논란이 예상된다.

14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자민당 외교부회 회장은 이날 트위터에 문 대통령의 지시를 "허세 그 자체"라고 표현하면서 "ITLOS에 제소하면 한국이 큰 망신을 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과 관련해 청와대 내부 회의를 열고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제소 검토를 지시한 가운데, 일본 자민당 측 인사가 "허세를 부린다"는 막말을 해 논란이 예상된다.

14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자민당 외교부회 회장은 이날 트위터에 문 대통령의 지시를 "허세 그 자체"라고 표현하면서 "ITLOS에 제소하면 한국이 큰 망신을 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소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보다 한국 원전의 삼중수소 방출량이 더 많다는 사실이 드러나 "웃음거리가 될 것"이란 논리다.

사토 회장은 이어 일본 정부가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를 겨냥해 "한국이 (일련의 사안들에 이어) 새롭게 ‘이건 안돼’라고 하고 있다"고도 했다. 한국이 일본에 자꾸 공연한 트집을 잡는다는 어조다. 해당 트윗 내용을 실은 산케이의 기사는 현재 일본 최대 포털 사이트 야후에서 ‘가장 많이 본 기사’에 올라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일본의 오염수 방류 결정을 놓고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ITLOS 제소 검토를 지시했다. 이후 신임장 제정을 위해 청와대를 찾은 아이보시 고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 대사에게도 그는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해 지리적으로 가장 가깝고 바다를 공유한 한국의 우려가 매우 크다"며 "한국 정부와 국민의 우려를 잘 알 테니 본국에 잘 전달해 달라"고 했다. 통상 덕담을 주고받는 이런 자리에서 주재국 정상이 민감한 현안을 콕 집어 언급하는 것은 외교적으로 드문 일이다.

사토 마사히사 자민당 외교부회 회장. /마이니치

사토 회장은 2011년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며 울릉도를 방문하기 위해 한국에 입국하려다 거부당한 자민당 극우파 의원 3인방(신도 요시타카, 이나다 도모미) 중 한 명이다. 2015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체제 때는 일본을 ‘다시 전쟁할 수 있는 나라’가 될 수 있게끔 하는 안보 법제 제·개정안의 날치기 통과를 주도했다. 자민당은 안보법에 대한 국민의 이해 부족을 일깨워준다며 그해 7월 사토 회장을 모티브로 한 애니메이션 ‘가르쳐줘, 콧수염 대장’을 제작하기도 했다.

사토 회장은 2019년 외무성 부대신 시절에도 문 대통령을 향해 선을 넘는 언사를 한 바 있다.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 목록에서 제외한 데 대해 문 대통령이 "가해자인 일본이 적반하장으로 큰소리치는 상황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하자 "품위 없는 말을 쓰는 것은 비정상이다. 일본에 무례하다"고 한 것. 이에 당시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차관급 인사가 상대국 정상을 향해 막말을 쏟아내는 게 과연 국제적 규범에 맞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며 "일본의 무도(無道)함이 갈수록 도를 더해가는 느낌"이라고 비판했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