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통증' 무릎관절증 환자 매년 증가..2019년 295만명 진료

신선미 2021. 4. 15. 12: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동반되는 '무릎관절증'으로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가 지난 5년간 해마다 늘어, 2019년에는 295만여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무릎관절증 환자는 262만1천명에서 2019년 295만1천명으로 12.6%(33만명)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년 60대 > 70대 > 50대 순..여성 환자가 69.7%

2019년 60대 > 70대 > 50대 순…여성 환자가 69.7%

무릎통증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동반되는 '무릎관절증'으로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가 지난 5년간 해마다 늘어, 2019년에는 295만여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무릎관절증 환자는 262만1천명에서 2019년 295만1천명으로 12.6%(33만명)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3.0%다.

환자 수 증가에 따라 무릎관절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5년 1조1천399억원에서 2019년 1조6천824억원으로 연평균 10.2%씩 증가해 5년간 47.6%(5천424억원) 늘었다.

1인당 진료비 역시 2015년 43만5천원에서 2019년 57만원으로 31.1%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환자는 2015년 75만5천명에서 2019년 89만3천명으로 18.2%(13만8천명) 증가했고 여성 환자는 2015년 186만6천명에서 2019년 205만8천명으로 10.3%(19만2천명) 늘었다.

2019년 기준으로 보면 여성 환자가 전체의 69.7%를 차지하지만, 30대까지는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많다.

이에 대해 박상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30대까지는 남성의 스포츠 활동이 여성보다 많아 외상으로 인한 무릎 인대, 연골, 연골판 손상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지만, 퇴행성 변화와 골다공증의 경우 여성 환자에서 더 빨리 발생하므로 40대 이상의 퇴행성 슬관절염(일차성 슬관절증)은 여성의 비율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환자 연령을 살펴보면, 2019년 전체 환자 중 60대가 33.0%(97만2천명)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70대가 27.2%(80만3천명), 50대 19.8%(58만5천명) 순이었다.

박 교수는 "무릎관절증 예방을 위해서는 무릎 주변의 근력 강화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무리한 운동보다는 수영, 걷기, 자전거 타기 등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좋고 체중관리도 무릎 손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sun@yna.co.kr

☞ "뱀굴인줄 알았더니"…배수로 파다 석굴무덤 발견
☞ '화장실 가고싶다'던 아내 차타고 가다 무의대교서 투신해 사망
☞ 제자 성폭행 전 국가대표 왕기춘에 징역 9년 구형
☞ 장애 동생 발가벗겨 베란다 내쫓고 가학적 살해한 장애인 형
☞ 입 연 김정현 "되돌리고 싶을 만큼 후회"…서예지 언급은
☞ 직장 다니는 자식만 믿었는데…집 한채 전 재산인 은퇴자들 고민
☞ 부산 지하상가서 휴대전화로 연인 무차별 폭행 남성 집행유예
☞ "떡락해도 존버"…코인에 올인한 젊은 초상
☞ 시민 700여명 죽었어도 물 뿌리며 '떼춤'추는 미얀마 군인들
☞ 코로나 불황? 그런거 몰라요…슈퍼카 싹쓸이한 큰손의 정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