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백신 절벽' 방역 無能으로 코로나 재앙 더 키운 文정부

기자 2021. 4. 15.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무능(無能)이 거듭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 백신을 생산하는 미국 제약업체 모더나는 13일 "5월 말까지 미국 정부에 1억 회분, 7월 말까지 추가로 1억 회분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정부가 최선의 방역인 백신 도입에 뒷짐 지고 있다가 '백신 절벽'을 불러, 코로나 재앙도 더 키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무능(無能)이 거듭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 백신을 생산하는 미국 제약업체 모더나는 13일 “5월 말까지 미국 정부에 1억 회분, 7월 말까지 추가로 1억 회분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28일 모더나 CEO와 화상 통화한 사실을 다음날 공개하며 “2021년 5월부터 4000만 회분을 공급받기로 했다”던 것이 허언이 될 수 있다. 모더나 측이 덧붙인 대로 “미국보다 1분기 정도 늦어진 미국 외 지역의 공급망 계속 확장”이 이뤄지더라도, 한국은 먼저 계약한 유럽연합(EU)·영국·일본·캐나다·스위스·카타르 등보다 공급이 더 미뤄질 수밖에 없다.

혈전(血栓) 문제가 불거진 아스트라제네카(AZ)와 얀센 제품보다, 모더나와 함께 안전성이 높은 화이자도 미국 공급을 기존 계약에서 10% 더 늘릴 수 있다고 발표했다. 문 정부의 3∼4분기 950만 명분 도입 차질로 이어질 게 뻔하다. 문 정부가 최선의 방역인 백신 도입에 뒷짐 지고 있다가 ‘백신 절벽’을 불러, 코로나 재앙도 더 키웠다. 백신을 한 번이라도 접종한 국민은 14일 기준 전체의 2.2%다. ‘상반기 1200만 명 접종과 11월까지 집단면역’은 실현 불가능에 더 가까워졌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백신 수급의 불확실성을 현저하게 낮추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며 사실상 국민을 속이기까지 했다.

‘K방역’의 허상이 드러나도 끊임없이 자화자찬해온 문 정부다. 일부 국가는 이미 집단면역이 실현돼 코로나 사태를 벗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떠올리기조차 민망하다. 이제라도 문 정부는 국민 앞에 사과하고 정직하기부터 해야 한다. “올해 내 집단면역이 어려워졌다는 걸 인정하고,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서라도 백신 도입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 지적이나마 경청해야 할 때다. 그것이 국민 불안과 분노를 더는 키우지 않는 길이다.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