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이어 얀센도 혈전 위험 부각..제3세계 백신 보급 '불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희귀 혈전 위험이 부각된 이후, 덴마크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완전 중단하고 유럽연합은 화이자 백신 추가 확보에 나섰다.
또 미국은 희귀 혈전 위험 우려가 제기된 얀센 백신의 접종 재개 결정을 보류했다.
덴마크의 결정은 미국 등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같은 종류(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인 얀센의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하도록 권고한 뒤 나온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정치인·노벨상 수상자 등 바이든에 "백신 특허 효력 중단" 촉구
덴마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완전 중단..EU, 화이자 백신 추가 확보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희귀 혈전 위험이 부각된 이후, 덴마크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완전 중단하고 유럽연합은 화이자 백신 추가 확보에 나섰다. 또 미국은 희귀 혈전 위험 우려가 제기된 얀센 백신의 접종 재개 결정을 보류했다.
이에 따라 ‘백신 혈전 위험’이 제3세계의 백신 확보를 더욱 어렵게 할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세계무역기구(WTO)에 이어 고든 브라운 전 영국 총리 등 세계 유력 인사 175명도 제3세계 백신 확보를 돕기 위한 행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덴마크는 14일(현지시각) 희귀 혈전과의 관련성이 인정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완전히 중단하기로 했다고 영국 <비비시>(BBC) 방송 등이 보도했다. 이 나라 보건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의 이점이 위험보다 크다는 유럽의약품청(EMA)의 결론에 동의하지만, 다른 백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이렇게 결정했다고 밝혔다.
덴마크의 결정은 미국 등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같은 종류(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인 얀센의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하도록 권고한 뒤 나온 것이다. 이로써, 덴마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 계획에서 완전 배제한 첫 나라가 됐다.
유럽연합(EU)도 이날 화이자의 백신 5천만회분을 2분기에 추가로 받기로 하는 등 두 회사 백신과 다른 종류의 백신 확보에 더 적극 나서고 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4분기에 공급받으려던 화이자 백신 물량을 2분기에 받기로 함에 따라 2분기 전체 화이자 백신 확보 물량이 2억5천만회 접종분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13일 얀센의 백신 접종 중단을 권고한 미국도 이 백신 접종 재개 여부 결정을 일단 보류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은 당분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현재 미국·유럽연합 등이 주로 접종하는 백신은 엠아르엔에이(mRNA) 백신인 화이자, 모더나 백신과 바이러스 전달체 방식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다.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의 희귀 혈전 위험이 부각되면서 이들 나라의 엠아르엔에이 백신 의존도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이는 현재도 백신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제3세계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의 경우 저온 보관 필요성이 없다는 편리성 등 때문에 제3세계 보급용으로 유리한데, 부자나라들의 기피 현상은 제3세계 보급에 걸림돌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은 이날 “전세계에서 백신이 7억회 접종됐는데 저소득 국가의 접종 비중은 0.2%에 그친다”며 가난한 나라들에 대한 공평한 백신 분배를 다시 촉구했다. 고든 브라운 전 영국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 등 정치인과 노벨상 수상자 등 175명도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 보낸 편지에서 백신 관련 지적재산권의 효력 일시 중지를 촉구했다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들은 편지에서 “세계무역기구 차원의 효력 중단 조처가 코로나19 대유행을 끝내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며 “백신 관련 지식과 기술을 전세계가 공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편지는 지난해 10월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세계무역기구에서 처음 제안했고 60여개국이 지지한 방안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 컬럼비아대학 교수는 ‘(특허) 강제 실시권’(특허권자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특허 이용을 허락하는 것)이 존재한다는 점을 거론하며 “긴급 상황에서 특허의 효력을 중단할 수 있다는 원칙은 국제 사회가 모두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20대 여성 80% 당한 ‘온라인 스토킹’ 처벌할 법이 없다
- 식약처 “‘알몸 배추’ 수입 안 돼”…국외 김치제조사 전체 현지실사
- 장제원 “김종인의 대선 헌팅…윤석열, 덫에 걸려들지 말라”
-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84%는 도로서 발생…전기차·수소차도 소용없네
- 당신이 민주당 리더라면…‘문자 폭탄’ 어떻게 생각하나요?
- [ESC] ‘알몸 배추’ 본 뒤 김치가 불안하다구? 한번 담가봐!
- “친근한 존재 아냐” 비판 쇄도하자…하루 만에 ‘삼중수소 캐릭터’ 내린 일본
- ‘자가검사키트’ 전도사, 오세훈의 언행을 ‘진단’해봤습니다
- 상상에서 현실이 된 우주급유…위성에 새 생명 줬다
- 이탈리아 유명 남녀 TV진행자, 방송중 인종차별적 ‘눈찢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