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유튜브 쏠림', 소비자에 피해 올 수도?
<앵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15일)도 김혜민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김 기자, 요즘에 코로나19 때문에 더 아마 그랬을 것 같은데 인터넷을 많이들 쓰시잖아요. 그런데 인터넷 쓰다 보면 사이트 같은 데 들어가는데 그것이 특정 플랫폼에 좀 몰려 있다면서요?
<기자>
코로나19 이후로 외출이 오히려 어려워졌죠. 많이. 인터넷 사용이나 TV, 동영상 시청을 더 자주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때 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일부에 쏠려 있었습니다.
먼저 동영상을 시청할 때는 유튜브가 압도적인 사용량을 보였습니다.
92%에 달하는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었고, 유료를 제외한 무료 서비스 중에서는 네이버, 인스타그램 사용량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정보를 찾을 때는 네이버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습니다. 88%가 넘었는데 전체 연령층이 다양한 분야를 찾아보고 있었습니다.
주목할만한 부분은 유튜브로 정보를 찾는 사람들이 작년에 비해 늘어났고 구글을 넘어설 정도입니다.
이렇게 일부 플랫폼으로 편중되는 현상은 매년 더 강해지고 있는데 플랫폼 사용량은 온라인 구매로까지 이어집니다.
온라인 쇼핑 구매자의 76%가 오픈마켓을 이용하고 있었고, 네이버가 가장 큰 오픈마켓을 운영하고 있죠.
유튜브도 다양한 방법으로 간접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김 기자가 방금 전해준 내용 쭉 듣다 보니까 저도 그런 것 같아요. 방금 이야기한 그 플랫폼들만 거의 쓰는 것 같아요. 그런데 이렇게 특정 플랫폼으로 사람들이 쏠려버리면 부작용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기자>
이렇게 한 번 플랫폼을 이용하게 되면 사실 갈아타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온라인 플랫폼 시장은 승자독식의 구조고 진입 장벽도 높습니다.
플랫폼 사업자들은 먼저 인터넷 검색과 온라인 광고 같은 분야에서 시장을 장악한 다음에 이 지배력을 이용해서 입점 업체와 경쟁 기업에 불공정한 거래를 강요합니다.
최근 중기부 조사를 보면 입점 업체들이 플랫폼의 부당행위를 경험했다는 비율이 47%를 넘습니다. 또 과도한 광고비를 요구한다는 비율도 63%나 됐고요.
이것은 꼭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미국에서는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이 4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입니다.
이 기업들은 지난 10여 년 동안 잠재적 경쟁 사업자 약 500여 개를 인수했는데요, 이것을 '킬러 인수'라고 부릅니다.
대기업이 경쟁자를 없애고 독점적 지위를 지키기 위해서 신생 기업을 사들이면서 다양한 업체가 경쟁하는 구도가 무너지게 되는 것이죠.
<앵커>
그런데 김 기자, 방금 이야기 들어보면 이 업계, 그러니까 시장에 있는 업계들은 좀 피해를 보지만 정작 소비자한테는 직접적인 피해가 없어 보이기도 해요, 실제로 그렇습니까?
<기자>
소비자들은 사실 같은 플랫폼을 쓰는 것이 가장 편하죠, 익숙하고요. 그리고 대부분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사용해서 특별히 피해를 본다, 이런 생각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플랫폼 업체들은 소비자들의 관심이나 빅데이터 정보 등을 수집해서 수익을 얻습니다.
독과점을 하는 상황에서는 소비자들의 과도한 정보를 축적하게 되고, 개인정보 보호에도 소홀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앞서 말씀드린 '킬러 인수'를 하면서 소비자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경험하고 선택할 권리도 제한당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온라인 플랫폼이 검색 결과에 편향성을 나타내더라도 이것을 대체할 다른 플랫폼이 없다면 견제하기가 어렵고 그 피해는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앵커>
그러네요.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는 없더라도 길게 보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소비자들한테 분명히 피해가 존재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규제가 필요할 것 아니에요. 우리나라나 해외에서는 어떤 관련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까?
<기자>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빨리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작년 10월에 미국 하원의 반독점 소위에서 4대 플랫폼 기업, 그러니까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을 독점기업으로 규정했고 이 회사들을 쪼개야 한다, 이런 내용의 권고안도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공정위와 방통위가 온라인 플랫폼 규제 법안을 마련해서 현재 국회에 상정은 돼 있습니다.
하지만 양측이 서로 자신들이 발의한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 이렇게 주장하는 상황이라서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생태계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플랫폼 독과점이 빠르게 벌어지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신속한 해법이 나와야겠습니다.
김혜민 기자kh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김다은 아나운서 “내가 박수홍 93년생 여친? 안타깝게도 아냐”
- 에스파 화보 촬영 작가, 불법 촬영 누명 벗었지만 '황당'
- 전세금 3억 6천 날릴 뻔…피싱 막은 우체국 직원 대처
- 식당 털린 주인, 그 도둑을 채용하고 싶다며 남긴 말
- 가정집 침입한 야생곰, '예상 밖의 적수' 만나 줄행랑
- “혐의 부인하냐” 묻자, 숙명여고 쌍둥이가 든 손가락
- 뇌출혈 2개월 여아 아빠 “화나서 던졌다”…자백 나와
- “미필적 고의 살인”…검찰, 정인이 양모에 사형 구형
- 하춘화 “최근 트로트 열풍, 당연한 이유는…”
- “이항 택시, 태풍에도 문제없다”…장밋빛 보고서 낸 영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