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

2021. 4. 15. 09: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출 500억 달러 돌파, 16.5% 증가하며 역대 3위 기록

- 무역수지는 11개월 연속 흑자 -


 (‘21. 3월 수출입 현황)


○ (총 괄) 3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6.5% 증가한 538억 달러, 수입은 18.8% 증가한 497억 달러로, 무역흑자 41억 달러를 기록하여 11개월 연속 흑자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0년

2021년

3월

1~3월

2월

3월

1~3월

수 출

(전년동기대비)

46,167

(△1.8)

130,182

(△1.9)

44,693

(9.2)

53,783

(16.5)

146,487

(12.5)

수 입

(전년동기대비)

41,804

(△0.4)

121,499

(△1.9)

42,191

(14.1)

49,651

(18.8)

136,101

(12.0)

무역수지

4,363

8,683

2,503

4,132

10,385


○ (수 출) 


-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8.3%)승용차(14.7%)석유제품(17.4%)선박(67.3%)자동차 부품(12.1%)무선통신기기(8.5%)가전제품(2.4%) 등은 증가, 액정디바이스(△22.8%)는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26.0%), 미국(9.2%), 유럽연합(36.7%), 베트남(5.4%) 등 증가, 일본(△2.6%), 중동(△17.5%) 등 감소


○ (수 입)


 -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17.6%)가스(11.5%)승용차(18.6%)는 증가, 원유(△1.3%)무선통신기기(△6.2%)는 감소


   - (소비재 : 25.5% 증가) 승용차(18.6%)의류(13.0%)조제제품(23.6%) 등은 증가, TV(△5.4%),쌀(△18.2%) 등은 감소


   - (원자재 : 15.9% 증가) 가스(11.5%),석유제품(18.5%) 등은 증가, 원유(△1.3%),무쇠(△11.3%) 등은 감소


   - (자본재 : 19.4% 증가) 기계류(17.6%),제조용 장비(49.3%) 등은 증가, 무선통신기기(△6.2%),선박(△36.0%) 등은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중국(21.5%), 미국(15.7%), 유럽연합(18.1%), 일본(10.8%), 중동(3.2%), 호주(70.9%), 베트남(10.5%) 등 증가


 (수출입 특이사항)


 ○ 3월 수출은 5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3위*기록, 5개월 연속 증가(’18.3월 이후 36개월만)한 가운데, 일평균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

*역대 수출(억 달러): (1위) ’17.9월 551.2, (2위) ’18.10월 548.6,(3위) ’21.3월 537.8


 ○ 수출 중량(순중량) 감소(△8.2%)에도 수출액이 증가(16.5%)하여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평가


 ○ 국가별로는 중국이 5개월 연속 증가(3개월 연속 20%이상 증가), 미국, 유럽연합은 7개월 연속 증가

     * 중국 수출(%):(’20.11)1.2→ (12)3.4→ (’21.1)22.2→ (2)26.9→ (3)26.0


 ○ 반도체는 9개월 연속 증가, 승용차는 ’16.12월 이후 51개월만에 40억 달러를 돌파하며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반도체(%):(’20.10) 10.2→ (11) 16.4→ (12) 29.7→ (’21.1) 20.6→ (2) 12.6→ (3) 8.3

     * 승용차(%):(’20.10) 7.1→ (11) 2.4→ (12)△4.7→ (’21.1) 42.8→ (2) 48.5→ (3) 14.7


 ○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증가로 전환

     * 수입단가($/배럴):(’20.11)42.5→(12)45.7→(’21.1)52.0→(2)56.9→(3)63.6

       수입단가증감률(%):(’20.11)△34.4→ (12)△31.8→ (’21.1)△25.7→ (2)△14.4→ (3)16.0


 ※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