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유행 눈앞인데 방역·백신은 '가물'

조형국 기자 이창준 기자 2021. 4. 14. 18: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갈수록 거세지는 가운데 14일 오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31명 늘어 누적 11만1천419명이라고 밝혔다./연합뉴스

코로나19 신규 확진 731명 급증
AZ 이어 얀센도 혈전 문제 발생
모더나까지 공급 늦어질 가능성
시민들 거리 두기 피로감 ‘한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00명대로 급증하며 ‘4차 유행’ 현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월 집단면역을 목표로 진행하던 백신 예방접종 계획은 혈전증 부작용과 국제적 수급 문제 등이 겹치면서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는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상향 가능성을 예고하며 방역을 강조하지만 국민 피로감은 한계에 다다른 분위기다. 4차 유행을 앞두고 뚜렷한 해법이 보이지 않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4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31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7일(869명) 이후 97일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각종 지표는 빨간불이 켜졌다. 최근 1주간 하루 평균 646명꼴로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난주 감염재생산지수는 1.21로 직전 1.14보다 높아졌으며 감염경로를 조사 중인 확진자 비율도 30%에 육박했다.

‘게임 체인저’로 기대를 모았던 백신 수급 상황도 좋지 않다. 정부는 당초 ‘고강도 방역수칙과 빠른 백신 접종’을 전제로 11월 집단면역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러나 국내 도입 비중이 가장 높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이어 얀센 백신에서도 희귀혈전증 문제가 발생하면서 비상에 걸렸다. 대체 백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모더나·노바백스의 구체적 도입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모더나의 경우 오는 7월까지 미국에 2억회분 백신을 우선 공급하기로 하면서 한국 등 다른 국가에는 공급이 늦어질 수 있다.

방역당국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방대본은 이날 백신 수급 관련 질문에 “범정부 백신 도입 태스크포스(TF)로 문의하라”고 했다. 그러나 TF는 “제약사와 협의 중이라 말씀드리기 어렵다”는 답변만 반복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얀센에 미국 등 해외 혈전 이상사례 정보를 요청하고 추가 조치를 검토키로 했다.

위기 소통도 난항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백신 부작용인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혈전증’과 관련해 “100만명당 1.3명(추정치) 발생” “조기 파악 시 치료 및 대응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깊어진 불신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해당 백신이 혈소판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면서 혈전이 생기고, 혈소판 수치가 낮아진다는 것 외에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정부가 ‘혈전 관련 질환 등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외에 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빠른 개발, 대체제 존재 등 코로나19 백신 자체의 특성이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 정치적 견해가 뒤섞이며 혼란스러워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백신 도입이 차질을 빚으며 그간 고강도로 유지돼 온 거리 두기에도 균열이 생기고 있다. 시민들의 누적된 방역 피로감, 느슨해진 방역수칙 등이 파고들고 있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운영시간 제한 강화는 물론 거리 두기 단계 상향까지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응단장은 “확진자 숫자보다 증가세 기울기를 완만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방역 정책의 갑작스러운 변화, 새로운 변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현재 유일하게 긍정적인 지표는 고위험군에 속하던 요양병원·시설에서의 확진자·사망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3차 유행이 정점에 달했던 지난해 12월과 비교했을 때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발생 시설은 23곳에서 지난달 9곳(동일집단·코호트 격리 기준)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1412명이던 확진자는 34명으로, 사망자도 172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