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보 쉽고 빠르게 자동입력..비에이템, 서비스 개발

이정훈 2021. 4. 14. 1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솔루션 개발 회사인 비에이템은 지자체가 코로나19 검진 정보를 질병관리본부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이하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입력하는 업무를 자동화했다고 14일 밝혔다.

비에이템은 보건소 직원 대신 로봇이 검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입력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연합뉴스 포토그래픽]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솔루션 개발 회사인 비에이템은 지자체가 코로나19 검진 정보를 질병관리본부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이하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입력하는 업무를 자동화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국 코로나19 검진자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모두 모인다.

전국 보건소 직원들이 검진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30개가 넘는 정보를 일일이 확인해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입력해왔다.

비에이템은 보건소 직원 대신 로봇이 검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입력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비에이템은 경남 창원시 보건소의 경우 그동안 검진자 1명 정보를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입력하는데 평균 3분이 걸렸지만,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부터는 정보 1건 입력에 15초가 걸려 소요 시간을 1/12로 줄였다고 설명했다.

박한규 대표는 "가뜩이나 코로나로 격무에 시달리는 직원들이 단순 통계 목적의 보고서 취합 등에 매달리는데 일선 행정 업무에 적용하면 업무 부담을 덜어주는 등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seaman@yna.co.kr

☞ 직장 다니는 자식만 믿었는데…집 한채 전 재산인 은퇴자들 고민
☞ "북한 여성도 이제 참고 살지 않는다"…거액 들여 이혼
☞ 입 연 김정현 "되돌리고 싶을 만큼 후회"…서예지 언급은
☞ 폭행당해 눈 못뜨는 생후 2주 아들 옆에서 고기 먹은 20대 부부
☞ 'MIT 박사' 스펙 자랑하며 돈 꿔간 예비사위 알고 보니…
☞ 전도유망한 청년간 살인극…MIT 대학원생 인터폴 적색수배
☞ "사랑 지키고 싶다"…성직 포기한 40대 신부님
☞ 1천200회 팔굽혀 펴기 기합 논란 해양대, 학장이 사과하기로
☞ '나 홀로 집에' 맥컬리 컬킨 아빠 됐다…엄마는 누구?
☞ '이건희 상속세' 납부기한 임박…12조원 어떻게 마련하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