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전오염수 방류 용납 못해" 전국 어업인, 단체, 지자체 일제 반발

박미라·김정훈·강현석·백경열 기자 2021. 4. 14. 16: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제주와 부산을 비롯한 전국 각지의 어업인과 환경단체, 지방자치단체가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가 14일 제주시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를 규탄하고, 철회를 촉구하는 1인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는 14일 낮 12시부터 1시간 가량 제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오염수 해양 방류를 규탄하는 1인 시위를 했다. 이들은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배출은 막대한 처리 비용을 줄이려는 일본의 치졸한 태도에서 비롯됐다”며 “바다를 방사능 물질로 오염시키는 범죄행위”라고 밝혔다.

제주수협조합장협의회와 제주도어선주협회, 제주도한국수산경영인연합회, 제주도어촌계장 협의회 등은 16일 오전 제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이들은 “오염수 방류로 인해 수산물 오염이라는 직접 피해는 물론 소비 급감으로 업계가 궤멸할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방류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환경회의와 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 51개 단체도 이날 오후 1시 부산 일본영사관 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993년 러시아의 핵폐기물 해양투기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 바를 잊었는지 30년 만에 내로남불의 경솔한 결정을 한 일본 정부와 스가총리는 역사 앞에 심판받을 것”이라고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

부산환경회의, 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14일 오후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영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결정 일본 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 앞바다에 원전 오염수가 흘러온다는 의미를 담은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와 전남지역 26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과 한빛핵발전소 폐쇄를 위한 광주비상회의도 이날 성명을 내고 “일본은 오염물질을 정화해 오염수가 안전하다고 하지만 검사 결과에 대한 원본 자료를 밝히고 있지 않아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면서 “안전하다면 농업용수나 산업용수로 사용하면 될 것을 왜 굳이 바다에 방류하려 하느냐”고 반문했다.

탈핵경남시민행동도 성명을 내고 “오염수 바다 방류는 자국 어민을 포함한 인접 국가 어민의 생계와 전 세계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파렴치한 행위”라고 밝혔다.

지자체와 의회도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성명을 내고 “원전 오염수 방류를 결정한 일본 정부 내각 관료들을 300만 도민과 함께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한국) 정부는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를 후쿠시마 인근 8개현에서 일본산 전체로 확대하고 주민 안전과 신뢰 확보를 위해 동해안 지역의 방사능 감시 지점을 현행 10곳에서 20곳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방사능·수산안전·해양환경 전문가 등으로 민·관 합동 안전대응 TF팀을 구성하기로 했다.

오규석 기장군수가 14일 오후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영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결정 철회 촉구 1인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규석 부산 기장군수는 이날 낮 12시 부산 일본영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규탄하는 1인 시위를 했다. 오 군수는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은 제2의 임진왜란”이라며 “전 국민이 의병이 돼 결사 항전의 각오로 일본 정부와 맞서 싸워야 한다”고 밝혔다.

포항시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125만t이 넘는 막대한 양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2053년까지 방류하기로 한 것은 바다에 독극물을 쏟아붓는 행위와 다름없어 포항시민은 물론 전 세계인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밝혔다. 시는 “포항은 5000여명에 달하는 어업종사자와 횟집 및 수산물 유통·가공 종사자 3만여명을 보유한 동해안 최대 어업 전진기지”라며 “일본 원전 오염수를 방류하면 해양환경과 수산물에 대한 불신으로 수산물 기피 현상이 뚜렷해지고 관광산업과 해양스포츠산업 침체로 직격탄을 맞는다”고 밝혔다.

제주도의회는 ‘오염수 해양 방류 규탄성명서’를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에 긴급 의안으로 상정해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등 전국 의회와 연대해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도의회는 이날 성명에서 “방사능 오염수는 방류 7개월 후면 제주 앞바다까지 흘러온다”며 “섬 지역인 제주는 수산업의 피해로 지역경제 존립 근간이 흔들릴 것”이라고 밝혔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이날 성명을 통해 “광주시교육청은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일본 수산물을 학교 급식에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앞서 13일 원희룡 제주지사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를 비롯한 부산과 경남, 울산, 전남까지 5개 지자체가 오염수 저지 대책위를 구성해 대응하겠다”며 “전문가들과 논의해 국제법과 국내법상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수 경남지사도 같은 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일본 결정은 국제사회는 물론, 가장 가까운 우리나라와도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내려진 결정으로 절대 수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오염수 방류는 인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해양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가져오는 행위이자 인류와 자연에 대한 범죄”라고 밝혔다.

송철호 울산시장도 같은 날 “울산시 자매 우호 협력 도시에 일본 정부 결정 철회를 요구하는 서한문을 발송할 것”이라며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은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미라·김정훈·강현석·백경열 기자 mr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