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통신·반도체' 2개 회사로 분할된다

조진호 기자 ftw@kyunghyang.com 2021. 4. 14. 16: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SK텔레콤(SKT)이 2개 회사로 분할된다. 존속회사는 통신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등 신사업을 벌이고, 신설회사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글로벌 투자를 강화한다는 청사진이다.

SKT는 14일 ‘통신과 반도체를 주력으로 하는 인공지능(AI)&디지털인프라 컴퍼니(존속회사)와 ICT투자전문회사(신설회사)로 기업분할을 추진한다’고 공시했다. 분할 방식은 주주친화적인 인적분할이며, 회사명은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인적분할의 취지는 통신과 더불어 반도체, New ICT 자산을 시장에서 온전히 평가받아 미래 성장을 가속화하고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데 있다고 SKT는 설명했다.

SKT는 국내 1위 통신 사업과 신성장 사업을 분리함으로써 각 영역에 적합한 경영구조와 투자기반을 갖춰, 반도체와 New ICT 사업을 확장하고 주주들에게 통신 사업과 신성장 사업에 대한 투자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AI&디지털인프라 컴퍼니는 SK브로드밴드 등을 자회사로 두고 5G 리더십을 기반으로 AI와 디지털 신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대표적인 신사업으로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독형서비스 등이 있다.

ICT투자전문회사는 국내외 반도체 관련 회사에 적극적으로 투자함으로써 반도체 강국 위상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뉴ICT 자회사들의 기업공개(IPO)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들의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받음으로써 ‘수익창출-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등은 생활 전반의 편의를 제공하는 라이프 플랫폼 기업을 지향한다.

기업분할은 앞으로 이사회 의결과 주주총회 등 절차를 거쳐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박정호 SKT CEO는 이날 온라인 타운홀 행사를 열고 “지금까지 구성원들의 노력으로 키워온 회사의 자산을 온전히 평가받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시점”이라며 “분할 후에도 각 회사의 지향점에 따라 계속 성장하는 회사를 만들자”고 말했다.

조진호 기자 ftw@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