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삼중수소, 한국 영향 없어" 日대사관, 해수부 자료로 반박

김도엽 기자,박혜연 기자 2021. 4. 14. 14: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염수' 아닌 'ALPS 처리수' 표현 써.."국내 해역 영향 미미"
환경단체 "원론적인 입장 반복..실체 밝힐 데이터 공개 안해"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출을 공식 결정한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탈핵시민행동 회원들이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마치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21.4.13/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박혜연 기자 =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2023년 바다에 흘려보내기로 결정한 가운데, 일본대사관 측이 우리나라 국회의원 300명에게 이번 방류 결정이 한국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취지의 설명자료를 배포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가장 문제로 지적되는 오염수 내 삼중수소(트리튬)가 한국 연안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도달하더라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는 게 해당 자료의 골자다. 특히 일본대사관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정화 과정을 거친 점을 강조하며 오염수가 아닌 'ALPS 처리수'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14일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전날 일본대사관으로부터 받은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 ALPS 처리수 처분 방법 결정에 관한 Q&A' 자료에 따르면 일본대사관은 오염수로 인한 우리 해역의 영향에 대해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자료는 양이원영 의원을 포함한 21대 국회의원 모두에게 전달됐다.

그 근거로 일본대사관은 지난 2013년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우리 수산물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 자료를 제시했다. 당시 해양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의 이동 경로 시물레이션 결과 오염수가 우리나라 연안에 도달하는데 10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며, 10년 후 도달하더라고 0.15베크럴(Bq)/㎥ 정도로 자연 상태 이하의 미량으로 추정된다"라고 명시돼 있다.

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2013년 발표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속조치' 자료도 근거로 들었다. 일본대사관은 "동태평양 방향으로 진행되는 일본 동북 해역의 해류의 특성에 의해 국내 해역에는 영향이 미미한 것이라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일본대사관은 "한국 연안에 도달하는 약 10년 동안 삼중수소는 점점 감소하며 나아가 확산·희석 효과에 의해 한국 연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삼중수소는 ALPS로도 제거할 수 없어 물로 희석해 방류해야 한다.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12.3년으로 이 기간이 지나야만 반으로 양이 줄어든다. 일본대사관이 반감기와 우리 해역에 도달하는 시점을 들어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 내 오염수의 삼중수소는 리터당 평균 58만베크렐(㏃) 수준으로 이는 일본 기준치인 6만㏃을 훌쩍 넘어선다.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은 1만㏃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4만㏃이 기준이다. 일본 정부는 이를 1500㏃까지 물로 희석해 방출한다는 계획이다.

삼중수소는 우리 몸에 물의 형태로 들어와 마시더라도 소변, 땀 등으로 열흘 안에 배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삼중수소가 인체 내에서 정상적인 수소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면 베타선을 방사해 유전자가 변형되거나 세포가 사멸할 수 있고, 생식기능 저하 등 인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ALPS로 오염수를 정화했음에도 세슘, 스트론튬 등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서 일본대사관은 "재정화를 통해 방사선 물질의 농도가 저감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ALPS로 오염수를 정화했음에도 오염수의 70%에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세슘, 스트론튬은 기준치 이상 남아 있었다. 도쿄전력은 ALPS로 2차 처리하니 대부분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 않다.

일본대사관은 "ALPS 처리수는 해양에 방출되기 전 삼중수소 이외 방사성 물질이 환경 배출 기준을 밑도는 농도까지 정화 처리한다. 또 추가 재정화했을 때 스트론튬, 세슘 등의 방사성 물질은 제거되기 때문에 실제로 방출되는 방사선 물질의 농도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삼중수소 이외의 방사성 물질의 총량도 대폭 감소하게 된다"라고 했다.

이어 "지금까지 해왔던 방사선 환경 모니터링 등을 해양 방출 실시 개시 후에도 지속해서 실시하여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의한 리뷰도 실시할 예정"이라고 했다.

우리 정부에 이번 오염수 관련 정확한 정보를 지속 제공하겠다고도 했다.

일본대사관은 "한국 정부와 보도 관계자에게 처리수의 처분 상황 설명을 지속하는 등 월별로 해양 방출의 실시 내용 등을 제공하겠다"며 "또한 IAEA와 협력해 처리수 처분의 리뷰 미션, 해양 모니터링 리뷰 등을 실시하여 국제사회로부터 일본의 대응 상황을 검증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했다.

일본대사관의 설명 자료에 대해 환경단체 쪽에서는 반발하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필요시 반박 자료 작성을 더불어 토론회를 통해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일본 정부의)원론적인 입장의 반복일 뿐이다"라며 "일본 정부가 데이터를 제공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표상적인 데이터에 그친다. 실체를 밝힐 수 있는 정확한 데이터 제공은 단 한 번도 없었다"라고 했다.

dyeop@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