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제조 26개사, 2030년까지 보유차량 무공해차로 100% 전환

김은경 2021. 4. 14. 14: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은행과 기아자동차 등 26개 금융·제조업체가 자체 보유 차량을 오는 2030년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들 업체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100 선언'에 공식 참여했다.

환경부는 14일 오후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6개 금융업체, 20개 제조업체,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30 무공해차 전환100' 제2차 선언식을 개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제2차 선언식 개최
'2030 무공해차 전환100' 선언식 참석한 한정애 장관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30 무공해차 전환100' 제2차 선언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scape@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국민은행과 기아자동차 등 26개 금융·제조업체가 자체 보유 차량을 오는 2030년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들 업체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100 선언'에 공식 참여했다.

환경부는 14일 오후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6개 금융업체, 20개 제조업체,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30 무공해차 전환100' 제2차 선언식을 개최했다.

이번 무공해차 전환 선언식은 지난달 25일 자동차 렌트·리스업의 무공해차 전환 선언에 이어 두번째로 열렸다.

이날 선언식에 참여한 6개 금융업체가 현재 보유한 차량은 5천여대로, 이 중 무공해차는 46대(0.8%)에 불과하다.

이들 금융업체는 올해 안으로 보유 중인 내연기관차 50여대를 처분하고 신규 차량 91대를 무공해차로 구매·임차하기로 했다. 아울러 단계적으로 무공해차를 2025년 1천600대, 2028년 4천대, 2030년 5천900대(누적)를 구매·임차해 2030년까지 보유 차량을 100% 무공해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20개 제조업체는 현재 1만9천여 대의 차량 중 무공해차 355대를(1.9%) 보유하고 있다.

올해 내로 800여대의 내연기관차를 처분하고 신규 차량 833대를 무공해차로 구매·임차할 계획이다. 또 무공해차를 2025년 약 1만대, 2028년 1만5천대, 2030년 1만9천대(누적)를 구매·임차해 2030년까지 100% 무공해차로 전환할 방침이다.

농협은행은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100에 참여하는 기업에 금리 우대를 제공하고, 현대자동차는 차량 구매가를 인하해 준다.

또 롯데렌탈·쏘카·현대캐피탈 등은 렌트·리스 특별판매가를 적용해 기업들의 무공해차 전환 지원에 동참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무공해차 보조금을 우선 지원하고, 사업장 내 충전기반시설(인프라) 설치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더 많은 기업이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100 선언에 동참할 수 있도록 업종별 간담회를 지속해서 개최해 무공해차 전환 과정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추가적인 지원과 협력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이번 선언을 계기로 제조업과 금융업계가 협업해 탄소중립과 산업구조 혁신 촉진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금융·제조업체 26개사 '2030 무공해차 전환100' 선언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14일 오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30 무공해차 전환100' 제2차 선언식에서 한정애 환경부 장관(앞줄 왼쪽 네번째)과 참여 기업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cape@yna.co.kr

bookmania@yna.co.kr

☞ 직장 다니는 자식만 믿었는데…집 한채 전 재산인 은퇴자들 고민
☞ "북한 여성도 이제 참고 살지 않는다"…거액 들여 이혼
☞ 전도유망한 청년간 살인극…MIT 대학원생 인터폴 적색수배
☞ 입 연 김정현 "되돌리고 싶을 만큼 후회" 사과…서예지 언급없어
☞ "너무 부담" 구미 3세 여아 친모 변호인 사임
☞ "사랑 지키고 싶다"…성직 포기한 40대 신부님
☞ 1천200회 팔굽혀 펴기 기합 논란 해양대, 학장이 사과하기로
☞ '나 홀로 집에' 맥컬리 컬킨 아빠 됐다…엄마는 누구?
☞ '이건희 상속세' 납부기한 임박…12조원 어떻게 마련하나
☞ 작품 악영향·학폭·학력위조 의혹…벼랑끝 몰린 김정현-서예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