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시문집 '상영도집' 등 6점 경기도문화재 지정

류수현 2021. 4. 14. 10: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 시대 시문집 '상영도집' 등 6점이 경기도문화재로 지정됐다.

경기도는 최근 경기도문화재위원회를 열어 상영도집을 비롯해 수원 항미정,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 및 신중도,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등 6점을 문화재로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상영도 놀이란 주요 관광지(명승지)가 적힌 놀이판을 활용해 가상으로 여행하듯 시문을 작성하는 것으로, 이 상영도집에는 각 지역에 대한 역사와 관련 인물 등이 기록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영도집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연합뉴스) 류수현 기자 = 조선 시대 시문집 '상영도집' 등 6점이 경기도문화재로 지정됐다.

경기도는 최근 경기도문화재위원회를 열어 상영도집을 비롯해 수원 항미정,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 및 신중도,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등 6점을 문화재로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시문 80편이 수록된 상영도집은 조선 시대 상영도(觴詠圖) 놀이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상영도 놀이란 주요 관광지(명승지)가 적힌 놀이판을 활용해 가상으로 여행하듯 시문을 작성하는 것으로, 이 상영도집에는 각 지역에 대한 역사와 관련 인물 등이 기록됐다.

수원 항미정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831년 건립된 수원 항미정은 보존 상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1908년 순종 황제가 융건릉을 참배할 때 방문한 기록도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1800년대 제작된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는 그림 양쪽에 사천왕상이 앉은 모습 등 다른 불화에는 없는 특징을 보여주며, 1800∼1900년대 화승 고산축연이 참여한 신중도는 음영법 등 다양한 기법이 활용됐다고 도는 전했다.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크기는 작지만 뛰어난 조각 수법으로 17세기 불상 중에서도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은 1600∼1700년대 불상으로 완성도 측면에서 문화재 가치를 인정받았다.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ou@yna.co.kr

☞ 직장 다니는 자식만 믿었는데…집 한채 전 재산인 은퇴자들 고민
☞ '나 홀로 집에' 맥컬리 컬킨 아빠 됐다…엄마는 누구?
☞ 서예지와 교제해 드라마 하차?…'별그대' 장태유PD측 "친분없다"
☞ "북한 여성도 이제 참고 살지 않는다"…거액 들여 이혼
☞ "사랑 지키고 싶다"…성직 포기한 40대 신부님
☞ 유흥주점 업주 사망 하루전 성폭행 혐의 중국인 구속영장 기각
☞ 윤여정 "한국계 미국인인 아들이 '엄마가 다칠 수 있다'며…"
☞ 넘치는 시신·부족한 병상…강에선 수백만명 '노마스크' 축제
☞ 생매장 당할뻔…부산서 길 걷다 갑자기 땅으로 쑥 빨려 들어가
☞ 홍은희 코로나19 확진자 밀접접촉…'오케이 광자매' 결방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