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 7,000억 원 돌파

신한나 기자 hanna@sedaily.com 2021. 4. 14. 09: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나스닥100(133690) 상장지수펀드(ETF)'가 4월 6일 종가 기준 순자산 7,000억 원을 돌파해, 국내 상장된 북미 주식형 ETF 중 최대 규모가 됐다고 14일 밝혔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한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완전복제 전략을 통해 기초지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운용하며, 별도 환헤지는 실시하지 않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북미 주식형 ETF 중 최대
석달 새 순자산 6,000억→7,000억
[서울경제]
2021년 1월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나스닥 마켓사이트(NASDAQ MarketSite)에 표시된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 6,000억 원 돌파 축하 메시지/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제공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나스닥100(133690) 상장지수펀드(ETF)’가 4월 6일 종가 기준 순자산 7,000억 원을 돌파해, 국내 상장된 북미 주식형 ETF 중 최대 규모가 됐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1월초 순자산 6,000억 원을 돌파한 지 석달 만이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정보기술(IT)·소비재·헬스케어 중심으로 구성돼 4차 산업혁명 수혜가 기대되는 미국 나스닥 시장에 투자한다. 12일 기준 해당 ETF는 1년 56.77%·3년 121.78%·5년 207.91%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우수한 성과를 바탕으로 작년 한해 5,040억 원, 올해에는 1,380억 원 순자산이 증가했다. 국내 상장된 해외주식형 ETF로는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ETF’ 다음으로 크며, 북미 주식형 ETF 중에서는 가장 크다. 해외주식형 ETF는 순자산 규모가 클수록 기타 비용이 낮아 투자자에게 유리하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한다. ‘나스닥100 지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함께 미국시장을 대표하는 3대 지수다. 지수는 미국 나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통신·도소매무역·생명공학 등 업종 대표주 100개 종목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 테슬라 등 첨단기술 관련 종목부터 벤처기업까지 글로벌 신성장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이뤄져 미국 성장성에 집중할 수 있는 지수로 꼽힌다. 금융회사는 편입하지 않으며, 시가총액 가중평균 방식으로 매 분기 리밸런싱을 진행한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완전복제 전략을 통해 기초지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운용하며, 별도 환헤지는 실시하지 않는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연금상품으로 활용 가능하다. 해외주식 ETF는 일반계좌에서 매매할 경우 매매차익 및 분배금에 대해 15.4% 배당소득세로 과세된다. 하지만 연금계좌에서 거래할 경우에는 매매차익과 분배금에 대한 과세가 이연돼 연금수령 시 3.3~5.5% 연금소득세로 저율 분리과세 적용 받는다. 또한 ETF 특성 상 0.23% 거래세도 면제돼 연금계좌에서 ETF를 매매하면 다방면에서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권오성 미래에셋자산운용 ETF마케팅부문 부문장은 “최근 증시 호황으로 미국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개별 종목 집중투자보다는 ETF 투자로 장기적으로 분산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미래에셋은 저렴한 비용으로 연금에서 활용 가능한 대표지수 상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신한나 기자 hanna@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