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애플 등 대형 기술주 동반 강세..테슬라 8.6% 폭등

전서인 기자 2021. 4. 14. 07:5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오늘(14일) 뉴욕증시는 존슨앤존슨 백신 중단 사태와 물가지표에 반응했는데요. 오늘 장 움직임부터 좀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J&J 백신 접종 중단·물가 지표 소화
- S&P500, 또 사상 최고치…나스닥 1% 상승 마감
- 美 3월 소비자물가 0.6%↑…9년만의 최대폭 상승
- 휘발유·식품가격↑…기조효과 속 인플레 압박 고조
- 소비자 물가지표 엇갈린 분석에 국채금리 하락
- 美서 J&J 백신 접종한 여성 1명, 혈전 합병증 사망
- '드물지만 심각한' 혈전증 발생…AZ 백신과 동일
- 코로나19 확산세 여전…부작용에 백신 접종 차질
- 백신 접종 차질, 경제재개 수혜 여행주↓·기술주↑
- '백신發 충격' 일시적…하반기 경제 재개 낙관 여전

Q. 지난해 팬데믹 발생에 따른 기조효과 탓도 있겠지만 3월 소비자 물가가 9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경기회복 속도가 가팔라질수록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증시에 또 다시 충격을 주지 않을까요?

- 美, 3월 물가상승률 2% 넘었다…또 인플레 논란?
- "인플레는 일시적…2% 넘어도 용인" 강조한 파월
- 3월 물가상승률, 예상된 결과…연준 판단에 영향 無
- CBS 인터뷰서 "연내 금리인상 없다" 선 그은 파월
- 월가 "CPI 가열에도 연준 압박할 가능성 작아"
- 美 경기회복 가속화,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불가피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