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청년 더 줄어들었다

정환보 기자 2021. 4. 13. 21: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경연, 산업별 추이 분석
7년 사이 비중 2%P 줄어
정년 연장·임금 상승 영향

[경향신문]

전체 취업자 가운데 청년층(15~29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가운데 특히 ‘정규직’에서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과 임금 상승이 청년 취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산업별 청년층 취업자 추이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전체 취업자 중 청년 비중은 2013년 14.6%에서 지난해 14.1%로 7년 사이 0.5%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에서 같은 기간 청년 비중이 2%포인트(18.4→16.4%) 줄어들어 비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산업군별로 나눠 살펴보더라도 청년 취업자 감소세는 정규직에서 좀 더 두드러졌다. 전체 취업자를 대상으로 청년 비중이 감소한 산업군은 전체 19개 가운데 12개 산업(63.2%)이었지만, 정규직 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면 이보다 많은 13개 산업(68.4%)에서 청년 취업자 비중이 줄어들었다.

정규직 가운데 청년 취업자의 비중 감소 폭이 가장 큰 산업은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으로 7년 사이 8.9%포인트 줄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이 특히 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에서는 같은 기간 청년 비중이 3.4%포인트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은 지난해 청년층 취업자 비중이 19개 산업군 가운데 가장 높은 26.6%였다. 하지만 여기서도 정규직 청년 비중 증가분은 2.0%포인트에 그쳤다. 한경연은 “그만큼 청년층이 아르바이트나 단기 일자리 등 비정규직에 상대적으로 많이 고용돼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기존 취업자의 정년 연장과 평균임금 상승도 청년 취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근로연령 상한(정년) 1년 증가는 청년 취업자 비중을 0.29%포인트 떨어뜨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금은 시간당 평균 1000원 증가할 때 청년 취업자 비중을 0.45%포인트 낮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환보 기자 botox@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