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보다 더한 '바이 아메리칸'..한국 영향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에 투자를 압박하는 배경에는 자국 우선주의 정책인 바이 아메리칸이 있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생산 공급망을 재편하겠다는 건데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국내 배터리 업계의 미국 내 투자가 확대될 전망인데 파나소닉 등 해외 기업들의 경쟁 가세로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미국 중심으로 생산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바이 아메리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에 투자를 압박하는 배경에는 자국 우선주의 정책인 바이 아메리칸이 있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생산 공급망을 재편하겠다는 건데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어서 이성훈 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에 20조 원을 투자하려는 계획은 이번 백악관 회의로 앞당겨질 전망입니다.
미 본토에서 생산과 공급을 강화하도록 우리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투자 압박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시장 공략의 기회이기도 하지만 문제는 미중 패권 경쟁입니다.
중국은 우리나라 반도체 최대 수출국입니다.
중국 내 공장을 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선 미국의 강력한 중국 견제가 부담입니다.
최근 백악관이 LG와 SK에 배터리 분쟁 합의를 이끌어낸 것도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큰 그림이었다는 분석입니다.
[젠 사키/백악관 대변인 : (LG와 SK의 합의는) 미국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는 우리 노동자들의 중요한 승리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국내 배터리 업계의 미국 내 투자가 확대될 전망인데 파나소닉 등 해외 기업들의 경쟁 가세로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김필수/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 다양한 기업이 배터리공급을 하다 보니까 경제성 논리에 의해서 가격이 떨어진다든지 좀 더 고성능 배터리를 요구한다든지 위기에 봉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미국 중심으로 생산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바이 아메리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한 해 661조 원에 달하는 연방정부 조달시장에서 미국산을 우선하는 게 골자로, 자국산 5대 조건과 인정 기준을 트럼프 행정부 때보다 강화했습니다.
[박혜리/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조금 더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이 좁아지는 거기 때문에 우려가 되는 부분이 있죠.]
미중 패권 경쟁을 비롯해 여러 위험이 중첩되고 있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유기적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편집 : 전민규)
▷ 웨이퍼 든 바이든…"미국에 반도체 공장 지어라"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278730 ]
이성훈 기자sunghoo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