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서 5·18 진압 참상 담긴 총탄 41년 만에 발견

김용희 2021. 4. 13. 18: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18민주화운동 때 계엄군의 옛 전남도청 진압작전 참상이 담긴 탄두와 탄흔이 41년 만에 확인됐다.

이번에 발견된 탄흔 추정 자국은 500여곳에 이르러 당시 계엄군의 무자비한 살상 과정을 엿볼 수 있다.

김희송 전남대 5·18연구소 연구교수는 "도청 건물은 계엄군이 무자비하게 총을 난사했던 장소로, 이번 탄흔 발견은 당연한 결과다. 공간과 건물을 훼손하지 않고 보존했다면 5월 참상을 진작에 밝힐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원추진단 9개월간 조사결과 발표
탄두 5개 등 71개..454개 추가 검증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의 의뢰로 옛 전남도청 건물 탄흔 조사를 한 이상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초빙교수가 13일 도청 내부에서 발견된 탄흔을 설명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때 계엄군의 옛 전남도청 진압작전 참상이 담긴 탄두와 탄흔이 41년 만에 확인됐다. 이번에 발견된 탄흔 추정 자국은 500여곳에 이르러 당시 계엄군의 무자비한 살상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추진단)은 13일 광주광역시 옛 전남도청 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진행한 옛 전남도청 건물 일대 탄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한 탄흔 추정 자국은 모두 535개다. 이 중 10개는 벽 속에서 탄두가 발견됐고 이 가운데 5개를 빼냈다. 탄두가 발견된 장소는 5·18 당시 시민군 상황실로 사용한 본관 1층 서무과 입구(8개)와 옛 전라남도경찰국 뒤편 외벽(2개)이다. 모두 계엄군이 사용했던 M-16 소총 5.56㎜ 총알로 나타났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옛 전남도청 진압작전에서 계엄군이 쏜 것으로 추정되는 M-16 소총 탄두.

추진단 소속 임종수 중령은 “탄흔 분포를 보면 계엄군이 연발 사격을 하며 도청을 진압한 것으로 보인다. 헬기사격 흔적인 7.62㎜ 탄흔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탄흔 71개는 열화상 촬영, 과거 사진과의 비교 결과 유력한 흔적으로 분류됐으나 수리·보수로 인해 탄두를 확인하지는 못했다. 벽이 5∼8㎝ 파인 형태인 나머지 454개도 탄흔으로 의심돼 잔존 성분 검사 등 추가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건물 외에도 1980년부터 남아 있는 본관 앞 은행나무에 3발, 회의실 옆 소나무에 2발의 탄두가 박혀 있는 것도 확인했다. 재개발로 철거에 들어간 도청 인근 학동의 한 주택에서도 탄두 2개를 발견했다.

13일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관계자가 5·18 당시 계엄군이 쏜 총탄이 박혀 있는 은행나무 조사 과정을 말하고 있다.

그동안 옛 전남도청은 전일빌딩과 함께 탄흔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력한 장소였다. 하지만 40여년이 지나며 페인트를 새로 덧칠하고 갈라진 틈은 시멘트로 메워 조사가 힘든 상황이었다. 추진단은 셀레늄, 이리듐 등 감마선 투과검사와 열화상 촬영, 철근탐사기와 지반투과레이더(GPR) 등 비파괴 최신 검사기법을 동원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탄흔 조사를 진행했다. 또 모형 벽체에 M-16 소총을 사격한 뒤 나타난 흔적과 비교·분석하는 방법도 쓰였다.

김희송 전남대 5·18연구소 연구교수는 “도청 건물은 계엄군이 무자비하게 총을 난사했던 장소로, 이번 탄흔 발견은 당연한 결과다. 공간과 건물을 훼손하지 않고 보존했다면 5월 참상을 진작에 밝힐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바로가기 : 최첨단 기법 활용 전남도청 탄흔 찾는다

http://www.hani.co.kr/arti/area/honam/954565.html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