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반도체는 핵심 인프라"..反中 반도체연합군 급물살

이재철,이종혁 2021. 4. 13. 17: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악관서 반도체 대책회의
TSMC 등 19개 기업 초청해
美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 독려

◆ 위기의 K반도체 ②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맨 뒤)과 백악관 참모들이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삼성전자를 포함한 전 세계 주요 기업 19곳 대표들과 영상으로 `반도체 및 공급망 최고경영자(CEO)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달립 싱 국가안보부보좌관,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UPI = 연합뉴스]
"21세기의 인프라스트럭처는 도로·다리가 아니다. 이 반도체칩·웨이퍼·배터리·광대역통신망이 인프라다."

12일(현지시간)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를 '국가 안보 위기'로 규정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기초재료인 웨이퍼를 직접 들고 나와 반도체가 21세기 미국의 핵심 인프라임을 강조했다.

이날 백악관은 대만의 TSMC, 한국의 삼성전자를 비롯해 총 19개 기업 고위 인사들과 영상으로 진행한 회의 명칭을 '반도체 정상회의'라 부르며 반도체 이슈가 바이든 대통령의 '가장 중요하고 즉시적인' 우선순위 현안임을 강조했다.

이날 반도체의 가치를 역설한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과 영상회의 종료 뒤 백악관 발표를 들여다보면 △반도체 생산기업을 상대로 투명성 압박 △미국 내 생산시설 투자 확대 △기업 투자분에 대한 정부 인센티브 강화 등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백악관은 별도 보도자료에서 19개사의 반도체 공급망 관리 문제를 언급했다고 공개했다.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완성차 업체들을 패닉으로 몰아넣고 있는 작금의 '자동차 반도체' 부족 사태의 일부 책임이 반도체 생산업체들에도 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반도체 생산업체들이 투명한 미래 수요 예측과 시장 소통, 공정 관리에 힘썼다면 지금과 같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지 않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한국의 삼성전자, 대만 TSMC, 미국 마이크론 등에 쏟아낸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19개 기업에 연방의회 상·하원 의원 65명에게서 받은 서한에 담긴 "중국 공산당은 반도체 공급망을 지배하려는 공격적 계획을 갖고 있다"는 대목을 인용하며 중국 견제 의도를 드러냈다. 이와 관련해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발표한 2조2500억달러(약 2530조원) 규모의 야심 찬 인프라 투자 계획에 반도체 산업 지원 예산(500억달러)을 포함시켰다.

미국이 이처럼 중국 견제와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에 발벗고 나선 가운데 각국 정부도 반도체 산업 보호를 위해 신속히 움직이는 중이다. 유럽연합(EU)은 반도체 생산의 해외 의존도를 낮춘다며 500억유로(약 67조원)짜리 역내 반도체 생산 기술 발전 프로젝트를 내놨다. 기업이 역내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면 유럽 내 각국 정부가 투자비의 20~40%를 지원하는 식이다.

일본도 자국 반도체 제조 시설 육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은 첨단 반도체 장비와 소재 업계의 강자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첨단 반도체의 자국 내 생산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민관이 참여하는 합동기구를 신설한다고 지난달 발표했다.

[이재철 기자 / 이종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