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대통합 변수로 떠오른 국민의힘 '자강론'

박소연 기자 2021. 4. 13.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7 재보선 이후 국민의힘 내 자강론이 대두하고 있다.

외부 인물 영입보다 당의 쇄신과 개혁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이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야권 통합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호영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국민의당과의 합당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범야권 대통합'에 반감을 갖는 이들의 목소리가 감지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
주호영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4·7 재보선 이후 국민의힘 내 자강론이 대두하고 있다. 외부 인물 영입보다 당의 쇄신과 개혁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이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야권 통합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호영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국민의당과의 합당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범야권 대통합'에 반감을 갖는 이들의 목소리가 감지된다.

주로 초선 의원들과 일부 비대위·중진들이 주인공으로, 이들은 차기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국민의힘 중심의 야권 대통합 플랫폼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에 반대한다.

국민의힘이 내년 정권교체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먼저 세우고, 그에 맞는 인물을 선별적으로 영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윤석열 전 총리 등 유력 대권 주자라고 '꽃가마'를 타고 무혈입성해선 안 된다는 의미도 있다. 또 이재오·홍준표·김무성·김문수 등 중진들의 재세력화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숨어있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들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4·7재보선 관련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정치란 대의명분을 갖고 미래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데 그때그때 인기있는 인물만 데려온다면 정당이 의미가 없다"며 "공정이 시대적 화두인데 윤석열 전 총장이든 안철수 대표든 당에서 공정한 룰을 만들어드리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흘러간 인물이 다시 들어오는 것은 당이 거꾸로 가는 것"이라며 "당이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멀리해야 할 세력과 명확히 절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자강론자들은 이번 재보선 승리에 과거 태극기 세력과의 절연이 중요했다고 본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수도권·초선 의원들을 전면에 배치하고 호남에 적극 방문하는 등 극우 정당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이들은 김 위원장이 당을 떠나자마자 소위 '올드보이'들이 재입성하는 것을 경계한다. 당의 4연패의 주역이란 이유에서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왼쪽부터)와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단일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김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사진=뉴스1

김재섭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불과 1년 전 미래통합당을 통해 야권 통합이 이뤄졌지만 결과는 총선 참패 아니었나"라며 "당이 중심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 급급하게 통합해 성공한 사례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철수 대표와 오세훈 시장의 단일화 국면에서 일부가 당이 흔들릴 정도로 입김을 행사한 것도 결국 당의 균열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찾기 위해서였을 뿐"이라고 했다.

한편으론 당내 자강론 역시 이해관계에 의한 것이란 의견도 있다. 외부의 유력 주자를 견제하는 움직임으로도 읽힌다는 것이다. 한 국민의힘 재선 의원은 "김종인 위원장의 자강론에 대해 당내에서도 의견이 나뉜다"며 "선거 승리를 했으니 대통합을 해서 나가잔 의견도 있고 본인이 직접 출마할 경우 좀 경계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선거 이후 국민의힘 내부에서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는 데 대해 일부 '자중지란'에 빠졌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자연스러운 움직임이라는 평가도 많다. 당권 공백 상태에서 내년 정권교체를 위한 다양한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은 수순이란 의미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각자 계파와 속한 집단의 목적에 따라 선통합 후통합 등 다양한 방법론을 주장하는 것인데 결국 제3지대와의 혁신경쟁을 통해 세를 넓혀 내년 정권창출을 해야 하는 목표는 같다"며 "전당대회 전 여러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예지, '김정현 조종설'은 빙산의 일각?…쏟아지는 의혹들김부선, 진중권·서민에 "한남 꼰대…이재명 '썸씽'이 허구라고?"서울패밀리 김승미 "멤버이자 남편 유노, 암으로 사망""스포츠센터 폭발물 찾아봐"…허위 신고 20대의 변명이…결혼식 부케받은 아내 절친과 바람을…남편은 "치료 목적"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