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지배구조 개편 초읽기..자회사 배치에 촉각

임영신 2021. 4. 13. 16: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적분할 통해 통신·투자 두 회사로 분리 유력
이르면 14일 발표..하이닉스 M&A 족쇄 풀릴 듯
도안
SK텔레콤이 중간지주회사 전환을 위한 지배구조 개편을 단행한다.

1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금명간 인적분할을 통해 이동통신사업과 투자회사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지배구조를 개편한다. 사업간 시너지 효과를 감안해 이동통신사업 아래에 SK브로드밴드를 비롯한 통신 관련 회사를 두고, 신설되는 투자회사 밑에는 SK하이닉스와 11번가, 티맵모빌리티와 같은 신사업 자회사를 배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자회사들을 어떻게 배치할지는 최종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이르면 14일 임직원들에게 지배구조 개편 방향에 대한 설명회를 갖는다. 타운홀 미팅 형식의 설명회에는 박정호 대표가 지배구조 개편 방안에 대해 직접 설명할 예정이다.

박정호 SK텔레콤 대표
중간지주사 전환을 축으로 한 지배구조 개편은 박정호 대표의 '숙원사업'이다. 박 대표는 2018년 SK텔레콤의 중간지주사 전환 의지를 내비쳤지만, 그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었다. 지난달 SK텔레콤의 주주총회에서 투자를 추진하고 통신기업의 틀에서 벗어나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지배구조 개편을 올해 실행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SK그룹의 지배구조는 SK(주)를 정점으로 SK텔레콤, SK하이닉스로 이어진다. 그동안 SK하이닉스는 지주사의 손자회사가 인수·합병(M&A)에 나서려면 피인수 기업지분을 100% 확보해야하는 현행 공정거래법 때문에 글로벌 반도체 호황에도 M&A를 하기 어려웠다. 투자회사가 신설되고 SK(주)와 합병이 이뤄질 경우 SK하이닉스의 지위는 손자회사에서 자회사로 바뀐다. 사실상 규제와 같은 '족쇄'가 풀리는 만큼 공격적인 글로벌 M&A를 통한 몸집 키우기에 나설 가능성이 점쳐진다.

시장에서 기업가치 재평가도 이뤄질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자사 시가총액이 20조원이 넘고, 자회사인 SK하이닉스 시총은 100조원에 달하는 데 비해 기업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통신 산업에 속해 있다는 이유로 11번가, 웨이브, ADT캡스, 티맵모빌리티처럼 신사업으로 공들여 키워온 자회사들이 저평가됐다는 게 SK텔레콤 생각이다. 이에 지배구조 개편을 계기로 자회사 가치를 인정 받고, 원스토어 등 기업공개(IPO)를 통해 추가 투자로 연결시켜 성장 동력과 기업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SK텔레콤의 그림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하면 이후 이사회와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해당 방침을 확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영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