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곤란한 '한계대학' 전국 84곳..비수도권·사립대서 많아"

김수현 2021. 4. 13. 16: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령인구 감소, 재정 부실 등으로 경영이 곤란해져 대학으로서 역할을 하기 어려운 한계대학이 전국에서 84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계대학의 회생 지원과 회생이 불가능한 한계대학을 위한 퇴로 개발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한계대학 회생 제고를 위한 특별법'(가칭) 등을 제정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선 회생 후 퇴출 정책 필요"
빈 대학 강의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학령인구 감소, 재정 부실 등으로 경영이 곤란해져 대학으로서 역할을 하기 어려운 한계대학이 전국에서 84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대학의 회생을 지원하고, 회생이 불가능한 한계대학의 퇴로를 개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13일 서영인 한국교육개발원(KEDI) 고등교육제도연구실장이 작성한 '한계대학 현황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보면 인구 지형 변화에 따른 학령인구 급감으로 대학의 재정 결손이 심화하며 한계대학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서는 2010년 이래 정부 주도의 대학 구조개혁 평가에서 한 차례라도 부실대학에 포함돼 재정 지원·학자금 대출이 제한된 적 있는 대학을 한계대학으로 봤다.

이 기준에 따르면 한계대학은 현재까지 총 84곳에 이른다.

지역별로 보면 비수도권 소재 대학이 73.8%(62곳), 유형별로는 사립대학이 94%(79곳)로 분석됐다.

전체 4년제 대학 수(2021년 기준) 대비 한계대학 비율은 경남이 70% 이상으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강원, 충북, 충남(60∼69%) 등 순이었다. 서울, 인천은 이 비율이 20∼29%로 가장 낮은 범위에 속했다.

2018년 신입생 충원율이 2016년 대비 하락한 한계대학은 38곳에 달했다.

같은 기간 중도 탈락률이 상승한 대학은 60곳으로 심각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취업률은 64.3%로 2016년보다 6.1%포인트 떨어져 대학의 교육 성과 약화가 취업률 하락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계대학의 2018년 등록금 수입은 423억원으로 3.4%, 한계대학 중 사립대의 적립금 규모는 300억원으로 5.7% 각각 감소해 재정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영인 실장은 한계대학을 발생 원인에 따라 회생 가능 대학, 회생 불가 대학, 자발적 퇴로가 필요한 대학, 비자발적 퇴출 대학 등으로 구분해 정책 처방을 차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계대학의 회생 지원과 회생이 불가능한 한계대학을 위한 퇴로 개발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한계대학 회생 제고를 위한 특별법'(가칭) 등을 제정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porque@yna.co.kr

☞ 윤여정 "한국계 미국인인 아들이 '엄마가 다칠 수 있다'며…"
☞ 넘치는 시신·부족한 병상…강에선 수백만명 '노마스크' 축제
☞ 진짜 '아기 상어'에게 깨물린 남자…황당한 결과는?
☞ 용인 도심에 '리얼돌 체험카페' 생기자 시민들이…
☞ 확진 노숙인 50여명 찾아낸 경찰에 '노숙인 왜 찾느냐' 묻자…
☞ 'ATM인가'…어떻게 도로 한곳에서만 1년간 18만건 벌금딱지를?
☞ '팔굽혀펴기 1천200회, 실화?'…해양대 신입생 군기잡기 논란
☞ 북한 퍼스트레이디 리설주 얼굴, 과거와 달라졌다?
☞ 세계에서 가장 큰 129㎝ '기네스북 토끼' 도둑맞아
☞ 부동산 투기 의혹 최고 공직 집단은 LH? "N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