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벌진트 정규 7집 뮤직비디오.. 한국예술원 동문들 대거 참여

이윤정 2021. 4. 13.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충정로에 위치한 교육부 2년제 예술전문학사, 4년제 예술학사 교육기관 KAC한국예술원은 버벌진트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 타이틀곡 '공인(Public Figure)'의 M/V 촬영이 본교에서 진행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앨범에는 더블 타이틀곡인 '공인'과 '나는 하수다'를 포함해 'Gone for a Minute', 'Hey VJ', '걷는 중', 'Open Letter', '흑화의 뜻', '내가 그걸 모를까', '아홉수', '물론 아냐 라면', '비정한 세상 피토하는 음악', 'My G-Wagen', '불협화음', '변곡점 Outro'까지 총 14 트랙이 수록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자주인공 이준, 김한별, 김준형 학생 스태프로 활약
버벌진트 정규앨범 7집 타이틀곡 ‘공인(Public Figure)’ M/V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서울 충정로에 위치한 교육부 2년제 예술전문학사, 4년제 예술학사 교육기관 KAC한국예술원은 버벌진트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 타이틀곡 ‘공인(Public Figure)’의 M/V 촬영이 본교에서 진행됐다고 13일 밝혔다.

버벌진트는 지난 6일 일곱 번째 정규 앨범 ‘변곡점’을 발매했다. 버벌진트가 새 정규앨범을 선보이는 것은 2015년 6집 ‘고 하드 파트1 : 양가치’(GO HARD Part1 : 양가치)를 낸 이후 약 6년 만이다.

이번 앨범에는 더블 타이틀곡인 ‘공인’과 ‘나는 하수다’를 포함해 ‘Gone for a Minute’, ‘Hey VJ’, ‘걷는 중’, ‘Open Letter’, ‘흑화의 뜻’, ‘내가 그걸 모를까’, ‘아홉수’, ‘물론 아냐 라면’, ‘비정한 세상 피토하는 음악’, ‘My G-Wagen’, ‘불협화음’, ‘변곡점 Outro’까지 총 14 트랙이 수록된다. 버벌진트가 전곡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한국 힙합을 대표하는 뮤지션인 스윙스, 한요한, 빅나티, 수퍼비, 마미손, 릴보이를 비롯해 신예 curv moon 등이 피쳐링에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타이틀곡 ‘공인’은 범대중적으로 쓰이는 ‘공인’이란 단어에 관한 통찰을 담은 곡이다. 버벌진트는 일상생활 속 자신을 바라보는 각양각색의 시선들을 특유의 철학적인 가사로 표현했다. 여기에 스윙스가 피쳐링에 참여해 ‘공인’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힘을 보탰다. 뮤직비디오는 ‘좋아보여’, ‘충분히 예뻐’, ‘굿모닝’, ‘시작이 좋아’, ‘이게 사랑이 아니면’, ‘비범벅’ 등 버벌진트의 대표곡들의 뮤직비디오를 탄생시켜왔던 MJJ 문승재 감독과 이남하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특히 이번 뮤직비디오는 주연배우와 스태프로는 한국예술원 졸업생과 재학생이 대거 참여했다. 남자주인공 이준 배우와 송민석, 오병주 학생이 연기자로 참여했고, 김한별, 김준형, 고혜수 학생이 조연출로 활약했다.

버벌진트의 소속사는 “이번 앨범은 ‘Gone for a Minute’으로 시작해 ‘변곡점 Outro’까지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서사로 구성됐다. 버벌진트가 묵묵히 걸어온 6년간의 발자취를 되짚어 볼 수 있는 특별한 앨범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뮤직비디오 촬영지가 된 KAC한국예술원은 실용음악예술, 뮤직프로덕션예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 계열에서 실무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KAC한국예술원은 2022학년도 신/편입생 선발전형 모집에서 학생들의 적성을 고려해 수능성적과 내신 성적 반영을 하지 않고 실기와 면접을 통해 선발하고 있다. 입학 및 편입은 KAC한국예술원 홈페이지 또는 진학사에서 지원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윤정 (yunj725@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