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은중경·묘법연화경, 경기도 문화재 지정 예고

김평석 기자 2021. 4. 13. 15: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용인시는 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모은중경'과 '묘법연화경'이 경기도 문화재 지정 예비 심의를 통과했다고 13일 밝혔다.

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모은중경과 묘법연화경은 각각 1591년 용인 광교산 화엄굴, 1578년 용인 광교산 서봉사에서 간행됐다는 간기가 명확하게 확인돼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문화재위원회의 예비 심의를 통과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용인시박물관 소장 유물 2건 경기도문화재위원회 예비 심의 통과
묘법연화경(용인시 제공) © News1

(용인=뉴스1) 김평석 기자 = 용인시는 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모은중경’과 ‘묘법연화경’이 경기도 문화재 지정 예비 심의를 통과했다고 13일 밝혔다.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은 부모의 은혜가 크고 깊음을 말하면서 그에 대한 보은(報恩)과 멸죄(滅罪)의 방법을 설한 불교 경전이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삼국시대 이래로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 경전 중 하나로,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오래된 간행물의 경우 간행 장소나 간행연월일 등을 표기한 간기(刊記)가 훼손돼 명확하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모은중경과 묘법연화경은 각각 1591년 용인 광교산 화엄굴, 1578년 용인 광교산 서봉사에서 간행됐다는 간기가 명확하게 확인돼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문화재위원회의 예비 심의를 통과했다.

이날부터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오는 8월 경기도문화재위원회의 확정 심의 이후 ‘부모은중경’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묘법연화경’은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될 예정이다.

부모은중경(용인시 제공) © News1

현재 용인시에는 국가 지정 문화재 65건, 경기도 지정 문화재 61건, 향토문화재 58건 등 184건의 문화재가 있다.

부모은중경과 묘법연화경이 지정 확정되면 총 186건의 문화재를 보유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부모은중경과 묘법연화경은 시박물관 소장 유물 중 처음으로 경기도문화재로 지정 예고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박물관 소장 유물이 추가 지정될 수 있도록 문화재 발굴과 보존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d2000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